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81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온상 스마트폰 안심하고 쓰는 기술 개발됐다
2014.09.28
아연나노필름을 개발해 실험한 결과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이 99% 이상 사라지는 것을
확인
했다. 또 2000번 이상의 문지르는 테스트에도 90% 이상의 투명도를 유지하는 등 내마모성도 강했다. 3개월 이상 공기 중에 노출해도 투명도나 항균특성에 영향이 없었다. 윤순길 교수는 “빠르면 2~3년 ... ...
‘남극대구’ 게놈 최초 해독…동상-고지혈증 치료 청신호?
2014.09.26
3만2260개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만3123개는 남극대구만이 갖고 있는 고유한 유전자로
확인
됐다. 남극대구는 극저온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까닭은 혈액이 얼어붙는 것을 막기 위한 항동결단백질, 저온에서 딱딱하게 굳어버리는 포화지방대신 굳지 않는 불포화지방산을 체내에 합성하는 성질 등이 ... ...
국민 아이디어 1년 모으니 황금알 낳는 아이디어 ‘1만 3000건’
2014.09.26
판매해 월 2000만 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민휘 씨는 인터넷 주소(URL)에 암호
확인
서비스를 적용해 피싱이나 스미싱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안심 URL 서비스’를 개발해 각종 사이트에 공급하고 3월 이후 기술료 수익으로 80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금까지 창조경제타운의 지원을 받은 ... ...
스마트폰 동시 사용, 인지·감정조절능력 손상시킨다
2014.09.25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로
확인
한 결과, 미디어 멀티테스킹을 많이 할 수록 뇌의 회백질(흰색 점)의 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 Plos One ... ...
국내 연구진, 남태평양 바다에서 신종 미생물 2종 찾아냈다
2014.09.25
관찰한 한 결과 25~28℃의 따뜻한 알칼리성 바닷물에서 가장 활발하게 생식하는 사실도
확인
했다. 강도형 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두 미생물이 만드는 효소와 색소가 바이오에너지와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생물자원 주권을 주장할 수 있는 유전자원 ... ...
대한민국 이공계 박사 연 평균 소득 ‘7613만 원’
2014.09.25
이직자 중 51.2%가 기업으로 이동해 전년(48.9%)보다 기업으로의 이직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
됐다. 기업으로의 이직 의향도 14.8%로 나타나 2010년 13.3%보다 높게 나타났다. 2013년 5~6월 실시된 이번 조사에는 2010년부터 선정된 이공계박사 743명, 기술사 800명과 2012년 선정된 고숙련 연구인력 522명 등 206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암 수술의 안전도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 최근 검진법이 발달하면서 미세 종양을 사전에
확인
할 수 있게 됐지만 정작 수술 중에는 종양을 정확히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넓은 부위를 절제해야 했다. 연구진은 나노형광기술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수술 전에 종양 부위에 이번에 개발한 ... ...
이번 주말엔 ‘토성 품은 달’ 관측하세요~!
2014.09.24
토성이 달 뒤편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토성-달 엄폐 현상.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은 28일 낮 12시 토성이 달 뒤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토성 엄폐 현상이 ... 프로그램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과 국립중앙과학관(www.science.go.kr)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
뇌 손상 회복시키는 ‘착한’ 단백질 발견
2014.09.24
연구진은 이때 뇌수막 세포가 만드는 AKAP12 단백질이 산소 부족으로 줄어드는 사실을
확인
했다. 그런 뒤 뇌수막 세포가 손상된 부위로 모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 시간이 지나면서 저산소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손상 부위 주변의 혈관에서 새로운 혈관이 뻗어 나와 산소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원생동물(왼쪽)에서는 물론 물벼룩(가운데), 제브라피시의 체내에서도 형광나노물질이 발견됐다. - 건국대 제공 수은과 같은 중금속이 먹이사슬을 타고 농축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소비자 단체가 임신부의 참치 섭취를 두고 갑론을박을 벌이는 까닭도 해양 생태 ... ...
이전
1666
1667
1668
1669
1670
1671
1672
1673
16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