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밥이 보약이 될수 있다? 식품 광고 대해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보약이라는 말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정도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식품과 의약품은 다릅니다 ... ...
[매스크래프트] #17. 스타워즈의 날 기념,
데
스 스타에 숨어 있는 구의 부피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비용이 들겠네요. 저는 안까지 꽉 차 있는 철공의 제작 비용을 구한 건
데
요. 만약
데
스 스타와 같은 크기면서 속이 빈 철공을 만든다면 비용이 얼마나 들까요? 퓨처킴의 계산을 참고해 정답을 ‘폴리매스 해당 게시글’에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에프매스가 그려진 떡메모지를 드립니다~ ... ...
[이달의 우주 날씨] 달이 가진 팔색조 매력에 빠져볼까!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그때마다 지구의 그림자 속에 달이 들어가면서 개기월식이 일어나야 할 것 같은
데
요. 개기월식을 매달 관측할 수 없는 이유는 뭘까요?그 이유는 달이 공전하는 궤도가 지구의 공전 궤도보다 5˚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에요.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이면서 한 평면 위에 있을 때만 개기월식을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활발해진 현대인에 대한 고유전체 연구는 동아시아인 진화사의 핵심 요소를 밝혀내는
데
기여했다. 베이징 인근의 톈위안 동굴에서 발견된 약 4만 년 전 인류의 유전체는 현대 동아시아인으로 이어지는 계통이 이미 이 시기 서유라시아인 계통과 뚜렷하게 나뉘었음을 증명한다. 한편 바이칼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통해 얻은 것이 있다면? 식물을 그리다 보면 식물과 관련된 학문에만 갇혀 살기 쉬운
데
, 과학동아를 읽는 것만으로 과학계 이슈 전반에 대해 어느 정도 알 수 있다는 점이 좋다. Q4 식물세물화가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한 마디. 주변의 생물을 꾸준히 관찰하고 기록하기를 권한다. 그림뿐만 아니라 ... ...
확률│자가검사키트 결과 믿어도 될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않은 사람을 걸리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확률입니다.검사마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다른
데
, 둘 다 높을수록 정확한 검사법이에요. 두 검사법 모두 특이도는 99%가 넘었지만, 민감도는 큰 차이를 보였어요. 실시간 유전자 증폭은 민감도가 95%를 넘지만 신속 항원검사의 민감도는 17.5%에서 82.5%까지 분석 ... ...
[수학자의 일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일기 (1646~1716)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그때 나는 내가 발명한 최초의 사칙연산 계산기를 왕립 학회에 선보이러 갔던 것뿐인
데
말이다.‘미분법’을 처음 창시한 게 누구인지를 밝히는 이 논쟁에 아무래도 결론을 내야 할것 같다. 뉴턴이 회장으로 있는 영국 왕립 학회에 항의 편지를 보낼 생각이다. 라이프니츠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 ...
거대 갑옷공룡의 독특한 생존법 ‘땅파기’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진화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런 특징은 땅을 파거나 꼬리를 움직이면서 균형을 잡는
데
유리하다. 몸통이 위아래로 납작하고 유선형에 가까운 점도 갑옷공룡이 퇴적물을 파헤치기에 유리한 체형임을 뒷받침했다.연구팀은 갑옷공룡이 땅파기 능력을 생존과 자기방어에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 ...
선사시대 딱정벌레의 마지막 식사메뉴는 꽃가루?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진화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런 특징은 땅을 파거나 꼬리를 움직이면서 균형을 잡는
데
유리하다. 몸통이 위아래로 납작하고 유선형에 가까운 점도 갑옷공룡이 퇴적물을 파헤치기에 유리한 체형임을 뒷받침했다.연구팀은 갑옷공룡이 땅파기 능력을 생존과 자기방어에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 ...
신속PCR 쟁점 3가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승인을 받은 적이 없다. 허가 받은 진단기기도 없다. 이들 검사의 정확도를 입증할
데
이터도 아직 충분치 않다. 서울대가 타액 검체 검사를 본격 도입하고자 해도 현재로서는 하기 어려운 상태다. 연구 목적으로 하려 해도 기관 생명윤리위원회(IRB)를 먼저 통과해야 한다. 방역당국도 부정적인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