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리터러시] 웹사이트, URL, IP…. 이게 다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그곳의 URL은 무엇인지 기억하나요? 그리고 그곳에 가기 위해 어떤 IP주소를 가진 기기를 사용했나요? 누구나 만날 수 있고 무엇이든 알 수 있는 인터넷 세상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중 가장 넓고 무궁무진한 세상이 될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미생물의 유전체만 쉽게 동정할 수 있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법과 빅데이터 분석법을 사용해 실험 대상자의 장 속에서 미생물 군집의 양을 파악했습니다. 그 결과 두 집단의 차이는 뚜렷했습니다(44쪽 그림). 비만인 청소년 집단에서는 박테로이데스속(Bacteroides) 미생물 비율이 훨씬 적었습니다. ... ...
- 확률형 아이템, 게임계 황금알 낳는 거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투입해 출시 전의 게임을 테스트해서 버그를 잡아내거나, 유료 상품 개발을 위한 자료로 사용한다면 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라고 전망했다.김 교수는 “최근 게임업계에서 여러 논란이 불거지며 게임사도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문제를 더 크게 인식하고 있다”며 “현재 벌어진 문제들은 ...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생물학적인 배경이 어떻든 고인류학의 관점에서 이들이 작은 머리로 석기를 만들어 사용했다는 점은 충분히 충격적이다. 호모 사피엔스의 매장문화, 작은 두뇌로 가능?또 다른 작은 인류는 2013년 남아프리카의 디날레디 동굴에서 발견됐다. 엎드려야 겨우 지나갈 정도의 좁은 굴 안에서 수천 점의 ... ...
- [특집] 사람 닮아가는 AI 비서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줄이고 가장 나은 답을 제시하기 위해 확률 개념이 적용된 기계 학습 알고리듬을 사용하지! 지금부터 내가 확률적으로 답을 추론해내는 방법을 알려줄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사람 닮아가는 AI 비서의 비밀Part1. [특집] 사람을 대신하는 AI 비서의 세계Bridge. [특집] 불확실성을 ... ...
- [특집] 확률 알면 빠르고 정확한 답변 찾는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어요. 확률 부등식은 확률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부등식을 사용한 것으로, 요즘은 수리통계학이란 분야에 들어갑니다. 굉장히 넓은 공간에서 답을 찾는 상황을 떠올려보세요.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찾고 싶은데 ‘한국에 산다’는 정보만 안다면 찾기 어렵겠죠. 그런데 ...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교수는 아롄 렌스트라, 헨드리크 렌스트라 형제와 함께 컴퓨터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암호 알고리듬인 ‘LLL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LLL 알고리듬은 격자 이론과 관련된 난제를 이용합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격자는 모눈종이의 정사각형입니다. 2차원인 모눈종이의 ... ...
- 제23회 전국학생 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창의성과 탐구성, 논리 타당성뿐만 아니라 주제에 맞는 통계 분석을 사용했는지 등을 함께 평가해요. 적절한 통계 분석을 이용해 자신이 선택한 주제에 대한 결론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죠. 아래 작품처럼 통계청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홈페이지에서 2020년 대회 수상작들을 참고해 나만의 통계 ... ...
- [매스크래프트] #17. 스타워즈의 날 기념, 데스 스타에 숨어 있는 구의 부피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반지름이 r인 구의 부피는 2πr3×2/3로 4πr3/3이 되는 거죠.이제 구의 부피를 구하는 공식을 사용해 데스 스타만한 철공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을 구해볼까요? 1977년 개봉한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데스 스타 1’의 반지름은 약 80km입니다. 이를 공식에 대입하면 데스 스타의 부피는 약 2천 144조 m3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 롱리(Longley)가 쓴 영문판 ‘미적분학의 기초(Elements of Calculus)’를 미적분 교재로 많이 사용했는데, 1948년 이 교수는 이 책의 한글 번역판을 처음 출판했습니다. 이후에도 이 교수는 ‘평면해석기하학’, ‘대수학’ 등 7권의 대학 교재를 쓰며 열악했던 한국의 수학교육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