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829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석기인도 정말 ‘구석기 다이어트’ 했을까
과학동아
l
2014.06.25
성분을 찾아냈다. 네안데르탈인이 주로 육류를 섭취했다는 그동안의 가설을 재
확인
한 것이다. 연구팀은 대변 속에서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등의 식물유래 성분도 발견했다. 네안데르탈인도 고기 이외에 채소를 섭취했다는 근거도 찾아낸 것이다. 연구를 ... ...
천식치료제, 소음성 난청 예방에 효과
과학동아
l
2014.06.24
사용되던 약이 소음성 난청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확인
했다. 박상면 아주대 의대 교수팀은 “천식치료제 ‘몬테루카스트’가 청각세포의 사멸을 막아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23일 밝혔다. 그간 소음성 난청은 시끄러운 작업 환경에 ... ...
씨앗이 새 타고 1만8000km 이동
과학동아
l
2014.06.23
아카시아 나무들의 직계조상이 지구 반대편 미국 하와이 섬의 코아 나무라는 사실을
확인
해 ‘뉴 파이톨로지스트’ 최신호에 발표했다. 레위니옹 섬의 아카시아 나무와 이 섬으로부터 1만8000km 떨어진 하와이 섬의 코아 나무는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어 식물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 ...
촉매제로 쓰이는 제올라이트의 ‘속사정’
과학동아
l
2014.06.23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원소 간의 자리 이동을 통해 안정한 곳을 향해 움직인다는 사실을
확인
한 것이다. 홍 교수는 “제올라이트의 뼈대 원소의 분포를 원하는 대로 조절한다면 새로운 특성을 나타내는 제올라이트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 ... ...
똑똑한 원숭이가 군림하는 세상, 실제로 올 뻔했다?
과학동아
l
2014.06.22
문학동네 제공 ◆내 머릿속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김대식 著, 문학동네刊) 최근 슈퍼마리오 피규어를 사면 햄버거와 콜라를 주는 이벤트를 진행 중인 패스트푸드 ... 독자들을 기다린다. 책 제목이 왜 ‘바이올리니스트의 엄지’인지는 직접 책을 읽어
확인
해보시길. ... ...
마약처럼 금단증상 생기는 ‘자외선 중독’
과학동아
l
2014.06.20
양이었다. 또 연구팀은 베타엔도르핀이 많이 합성된 쥐가 고 통을 덜 느낀다는 사실도
확인
했다. 일반 쥐는 52도로 뜨거운 물체에 닿은 뒤 2초 만에 즉각 발을 뗀 반면 자외선을 많이 받은 쥐는 10초가 지나서야 발을 뗐다. ●‘자외선 중독’ 부작용 낳기도 하지만 햇빛의 부작용도 발견됐다. ... ...
동전만한 크기에 DVD 3000편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14.06.19
움직이는 수소이온을 쪼이면 원하는 부위의 산소원자만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하고, 이를 이용해 8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이하의 작은 나노패턴을 7nm 간격으로 촘촘히 배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활용하면 하드디스크의 정보 저장밀도를 기존의 3배 수준인 3Tb 이상으로 ... ...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식물의 노하우는?
과학동아
l
2014.06.18
‘금요일에 과학터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sciencetouch.net)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트위터 ‘금과터’(@sciencetouch)를 팔로우(follow)하면 매주 최신 강연소식을 받아볼 수 있다. ... ...
‘꿈의 전자파’ 생체 부작용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4.06.18
피부에 30분간 쪼였더니 6시간 뒤 피부조직에서 염증세포의 수가 6배 이상 늘어난 것을
확인
했다. 이번 실험에는 살아있는 생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원자력연의 고출력 테라헤르츠 전자파 발생기와 KAIST 팀이 개발한 초고속 레이저 현미경이 쓰였다. 이 현미경은 살아있는 세포의 반응을 ... ...
건망증 원인은 결국 스트레스였어
과학동아
l
2014.06.18
이들의 코티솔 분비량은 미로에서 제 시간에 나오지 못한 쥐의 80% 정도로 낮다는 것을
확인
했다. 또 미로에서 제 시간에 나오지 못한 쥐의 뇌를 해부한 결과, 단기기억력과 관련있는 부분인 전전두엽의 신경세포 연결 중 20%가 망가져있다는 것도 알아냈다. 스트레스호르몬이 쥐의 기억력을 ... ...
이전
1681
1682
1683
1684
1685
1686
1687
1688
16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