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추출할 수 있도록 모든 연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프로테오믹스 연구는 기초
생물학
에서 질병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세계적으로도 초기 단계이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면 국내에서도 독창적인 신약 개발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세포 안에서도 좁은 세상은 펼쳐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필자들을 포함한 물리학자와
생물학
자들은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화학반응 네트워크에 관심을 가졌다. 생물은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받기 위해 연쇄적 화학반응을 세포 안에서도 일으키는데, 신진대사 네트워크(metabolic ... ...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연구하고 적응과 단계 계열 등에 관한 견 해를 공표했다 1866~1950 미국의 정신과 의사 정신
생물학
의 제창자로서 스위스에서 태어나 취리히 대학 졸업 후 파리·런던에 유학하여 C 다윈과 J H 잭슨의 영향을 받았다1892년 미국으로 건너가 신경병리학을 담당하는 동시에 정신과 임상에 종사했다코넬 대학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지구물리연구, 그리고 기지 주변의 생물생태와 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적응과정을 다루는
생물학
연구의 세 분야로 나뉜다.휴일에는 날씨가 좋으면 바닷가를 산책하거나 등산도 하고 가끔은 이웃 기지를 찾아간다. 현재 킹조지섬에는 우리나라 외에도 7개국의 상주기지가 있다. 육상에서나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분자적 기초를 밝히려는 연구분야를 의미한다1950년대부터 급속히 진전되면서 기초
생물학
의 한 분야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유전자공학을 대표하고 의료·약품·식품·농업 등의 응용면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공진 기부에 콜게이션을 설치하고 이에 의한 귀환을 이용해 발전시키는 ... ...
무선통신 서비스용 무인기 헬리오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세균으로 예상되는 질환의 진단 · 치료 · 예후를 확립하기 위해 실시되는 검사 미
생물학
적 검사의 하나이다실제로는 현미경검사 · 배양검사 · 동정검사(同定檢査) · 약제감수성(내성)검사의 4단계로 나뉜다염화물(鹽化物)과 환원제(還元劑) 존재하에서 광석을 배소(焙燒)하고 산화금속광물 등을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벗기고자 기포의 크기를 연구한 것은 아니다. 기포는 전지구적 기후, 가스 교환, 그리고
생물학
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과학자들이 부서지는 파도 사진 하나하나에서 기포를 세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기포는 바로 바닷물과 공기가 만나 섞이면서 생성된다. 대기 중의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바이오인포매틱스의 능력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린 무대였던 셈이다. 분자
생물학
과 바이오인포매틱스라는 황금 콤비를 통해 2002년 10월 현재 인간은 게놈의 92.5%에 대한 완성본과 5.8%에대한 초안, 합쳐서 98.3%의 정보를 알고 있다 ... ...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체물리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물론 화학과
생물학
, 물리학 등 기초과학이 바탕이 돼야 함은 물론이다.국내에서 광촉매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과정은 개설돼 있지 않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광촉매 연구가 기존의 학문과는 달리 여러 분야가 접목되는 ... ...
주방 세제로 표면장력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접촉면적에 있다. 소금쟁이가 물과 접촉하는 발은 무척 가늘어 접촉면적이 적다. 과거
생물학
자들은 mm 단위 이하의 세계에서 표면장력이 지배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관찰로 알아냈다.이같은 표면장력이 최근 마이크로기계기술의 발달과 함께 핵심적인 연구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체 크기가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