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원
박사
의도
의향
doctor
딱터
d라이브러리
"
의사
"(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백신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바이러스 치료의 기원은 1796년 영국
의사
제너가 개발한 천연두 백신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제너는 소의 우두 바이러스를 이용해 몸 속에 항체를 만들어 천연두 바이러스를 예방했다. 서울대 김선영 교수는 “백신은 바이러스 치료의 원조”라며 ... ...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전사’부유한 가정에서는 자녀들이 과학기술인이 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고 은행가,
의사
그리고 축구 감독 같은 안정된 직업을 갖길 원하지만 이에 반기를 들고 꾸준히 과학자의 길을 가는 이들이 있다.낡은 것들이 변화에 의해 절멸되면 새로운 것들이 마치 봄의 새 잔디처럼 그 자리를 메우고, ... ...
과학은 최고의 명탐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두근거리지 않나요?수사 수첩 1변사체가 발견되었다!자살일까, 타살일까?저명한
의사
이자 대학 교수인 강 박사. 그는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할 만한 의료기술을 한창 연구 중이다. 그가 연구 결과를 언제 발표할지 모든 이가 궁금해하는 가운데 그의 집에서 끔찍한 일이 발생했다. 바로 강 박사가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가능성을 열어 줄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일이
의사
의 해야 할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질병 없는 세상을 만들 주인공지금까지 치료용 배아복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실 쉽게 이해하기는 어려운 분야일 지도 모른다. 50년이 넘게 세계의 내로라하는 수많은 ... ...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식물이 불이 계속 타오를 수 있는 물질을 만든다고 생각했다.1770년대 후반 네덜란드
의사
였던 얀 잉겐하우스는 식물의 녹색 조직이 빛을 받았을 때만 산소를 만든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와 같이 헬몬트, 프리스틀리, 잉겐하우스가 광합성을 이해하는 발판을 마련했으나, 광합성 과정의 세부 단계는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존재하고 발과 에로티시즘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다고 본다. 미국의 저명한 정신과
의사
인 칼 멘닝거는 ‘인간의 마음’이란 책에서 여러 나라의 신화와 전설에 발과 성관념을 연결시킨 사례가 많다는 걸 보여줬다. 어떤 곳의 원주민은 성기를 노출시키는 것보다 발을 노출시키는 것을 더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심지어 뇌신경 연구를 금융에 적용하는 ‘신경경제학’까지 탄생했다. 시장에서
의사
결정을 할 때 마음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뇌를 보고 알아낸다는 얘기다. 미래에는 금융기관이 고객의 뇌영상을 분석하는 일까지 일어나지 않으리란 법이 없다.지난달 대우증권은 “내년 4분기에는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런 환자는 수술 후에 언어청각능력을 회복 못하기도 한다. 이런 사람도 수화로는
의사
소통이 가능하니 아마 언어영역이 잘못된 것은 아닐 터다.뇌의 어느 지역이 무슨 일을 하는지 알면 뇌의 각 부분이 서로 얼마나 기능을 나눠가질 수 있는지, 또는 병이 생긴 뇌가 얼마나 가소성을 발휘해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쉽게 피로해지는 단점이 있다. 잠시 고민 후 그는 말했다. “둘째 옵션으로 해주세요.”
의사
앞에 놓인 명패가 그의 눈에 들어왔다. ‘뇌-기계 접속 클리닉 과장 홍길동.’신경세포 신호전달은 디지털 방식이 가상 이야기에서와 같이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기술을 뇌-기계 접속(Brain-Machine Interface)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과잉 분비되어 일어나는 질병 갑상선 중독증이라고도 한다 이 병을 처음 보고한 독일
의사
바세도우(Basedow K A)의 이름을 따서 바세도우병이라고도 하고 미열(微熱) · 발한(發汗) · 맥박 증가의 전신증상과 안구가 돌출하며 갑상선이 붓기 때문에 목의 앞면에 융기(隆起)가 생긴다갑상선의 분비기능을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