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독처럼 언제 어디서든 바로 쓸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기엔 사용방법이 너무 불편하다. 자연 상태에서 어미 느림보원숭이가 새끼의 털을 골라줄 때 독을 발라주는 행위가 관찰된 반면, 아직까지 자신을 위협하는 포식자나 인간에게 독을 바르는 행동은 보고되지 않았다는 점도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산성도, 보는 각도에 따라 파란색뿐 아니라 초록색이나 노란색으로 바뀌기도 한다. 자연 속에 흔하지 않아 더욱 귀하고 특별한 색깔 파랑에 대한 열망이 ‘움직이는 파랑’을 탄생시키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위 날리는 '움직이는 색' 파랑PART 1. 파랑은 없다?info. 파랑을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이 r이라면, 이타주의자의 포괄 적합도는 1+1·(-c)+r·(b)이다. 자연선택은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포괄 적합도가 1보다 크면, 즉 -c+rb>0이면 이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다음 세대에 복제본을 현 세대보다 더 많이 남기게 된다(오른쪽 페이지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단지로 돌아 오고 있었다. 그렇게 많은 제비가 그렇게 좁은 공간으로 몰려드는 모습은 자연적으로는 결코 볼 수가 없는 모습이었다. 선배와 나의 지도교수였던 이동성 생물계 공학 교수님께서는 우리와 함께 그 모습을 보며 감격해 눈물을 흘리실 정도였다.다리를 다쳤던 35마리의 제비 중에서도 ... ...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때 꼭 필요하지만 포장을 뜯고 난 뒤 바로 버려진다는 사실이 안타까웠거든요. 그래서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는 충전재를 만들기로 결심했지요.에반 베이어는 요리를 할 때 주로 버리게 되는 버섯의 균사체를 떠올렸어요. 균사체는 버섯과 같은 균류의 포자가 발아한 후에 ‘균사’가 사슬형태로 ... ...
- [수학뉴스] 200테라바이트짜리 수학문제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모두 같은 색을 나타내지 않게 만들었지요.예를 들어 피타고라스 정리를 만족하는 세 자연수 쌍(3, 4, 5)에서 3과 4를 파란색으로 나타냈으면, 5는 반드시 빨간색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1부터 7824까지의 수를 이 조건에 맞게 나타냈습니다.또 1부터 7825까지 나타내는 것은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회색, 하양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어쩌면 어려서부터 물감을 보고 색을 배운 우리보다 자연에서 색을 배운 그들이 알고 있는 색의 개수는 훨씬 적을지라도, 사물이 가지고 있는 정확한 색을 인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위 날리는 '움직이는 색' 파랑PART 1. 파랑은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3~4년 위의 학년 수학 문제집도 사다 풀고, 교육방송도 보고 그랬죠. 그러다 보니 수학은 자연스럽게 잘했어요. 그래도 항상 관심이 가는 건 물리였어요. 물리책이나 과학자의 위인전을 보면서 막연하게 물리학자를 꿈꿨어요.”중학교 3학년 시절 전국 중·고등학교 수학, 과학경시대회를 앞두고 이 ...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로그 나선이라고 합니다. 물론 제가 앵무조개를 로그 나선으로 만든 건 아니고, 우연히 자연에서 찾게 된 발견이지요. 그런데 왜 저를 가둬놨는지, 참….”순간 단은 앵무조개의 촉수 사이에 써 있는 게 로그를 포함한 수식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고 생각했다.‘저 식을 풀어내면 탈출할 수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줘 미생물의 유전체를 약하게 한 뒤에 특정 DNA조각을 인위적으로 삽입하는 식이다. 자연 상태와의 차이라면 처음부터 의도를 갖고 만들었다는 것뿐이다. ‘수직’보다 크고 빠른 ‘수평’ 전달유전자 수평 전달은 흔하게 일어날 뿐만 아니라 진화의 속도도 훨씬 빠르고, 폭도 크다. 박테리아가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