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곳"(으)로 총 8,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전 국립중앙박물관, 얼마나 신기할까?!기사 l20220628
- ......풉 사냥돌 이라고 하네여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확실 히 다른 점이 있내요.이곳을 나가서 음식점이 있어서 맛있는 점식 식사를 했습니다. 맛집!~~~~~~~~~ 너무재밌었습니다. 자연사관은 지사탐 대원들에게 추천하고(저도 포함 해서)인류관은 인류의진화가 정말이지 신기했습니다. 수억년이걸쳐 ...
- [내 마음의 폭풍] 1화 반짝반짝 자랑터포스팅 l20220628
- 있었다. 우리반에서 제일 잘 나가던 나는 몇명을 빼고는 내 곁을 떠났다. 그리고 1달뒤 상우가 나에게고백했다. 아무도 없는 한적한 곳에서. 그 때쯤 나는 다시 인싸가 되있었다. 모든것기 회복된것이다. 그러나 난 나도 모르게 차버렸다. 상우는 받아드렸다, 그 결과를.나는 상우가 존경스러웠다. 어떻게 그런 결과를 받아드리는지도 궁금 했다. 그리고 ...
- 탐사기록 l20220628
- 지점: 익산시 황등면 황등리 1695 2. 조사 날짜: 2022년 6월 27일(월) 3. 주변 사진 4. 수로의 형태 (콘크리트 수로 또는 흙수로) : 콘크리트수로 5. 논물을 빼는 곳에 왕우렁이 유출 방지 차단망 유무: - 차단망 없음: 10곳 친환경 왕우렁이 농업을 하는 논이 아님. 예전에 왕우렁이 농업을 하였으나, 현재는 ...
- 탐사기록 l20220628
- 익산시 황등면 신기리 1090-18 2. 조사 날짜: 2022년 6월 27일(월) 3. 주변 사진 4. 수로의 형태 (콘크리트 수로 또는 흙수로) : 콘크리트수로 5. 논물을 빼는 곳에 왕우렁이 유출 방지 차단망 유무: - 차단망 없음: 10곳 친환경 왕우렁이 농업을 하는 논이 아님. 예전에 왕우렁이 농업을 하였으나, 현재는 ...
- 썰풉니다(단문주의)포스팅 l20220627
- 빨리 뛰어야 했어요. (이때 제가 죽을 힘 다해 뜀) 다행히 수비수가 공을 늦게 던져서 세이프긴 한데...홈에서 한발자국 정도 떨어진 곳에서 발이 꼬여서 넘어지면서 슬라이딩이 되었어요...진짜 발야구는 세이프인데 체육쌤이 아웃이라네요아 발만 안 꼬였어도 ㅜㅜ결국 ㄱ트롤 소리 들어서 5분동안 자숙을 했습니다-end ... ...
- 제주자연생태공원은 무엇일까?기사 l20220627
- 구조 되지 못한 노루들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가실 때,반달가슴곰 보호센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이제는 반달가슴곰이 다른 곳으로 옴겼다고 합니다.ㅠㅠ 저의 기사는 여기까지입니다. 첫 기사였는데,어떨지 모르겠네요.ㅠㅠ 재밌고,유익하시셨으면 추천 눌러주시고,답글 달아주세요 ... ...
- 탐사기록 l20220627
- 김제 장돌친환경쌀 재배 1. 조사 지점: 전북 김제군 죽산면 대창리 562-15 2. 조사 날짜: 6월 24일(금) 3. 주변 사진 4. 수로의 형태 (콘크리트 수로 또는 흙수로) : 콘크리트 수로 5. 논물을 빼는 곳에 왕우렁이 유출 방지 차단망 유무: 차단망 있음: 10곳 차단망의 형태: 파이프 형태 ...
- 탐사기록 l20220627
- 부안 친환경쌀 재배 1. 조사 지점: 전북 부안군 행안면 대초리 2. 조사 날짜: 6월 24일(금) 3. 주변 사진 4. 수로의 형태 (콘크리트 수로 또는 흙수로) : 콘크리트 수로 5. 논물을 빼는 곳에 왕우렁이 유출 방지 차단망 유무: - 차단망 없음: 4개 차단망 있음: 6곳 차단망의 형태 ...
- [지사탐 현장교육] 화분매개자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20626
- 수 있도록 도와주는 ‘허니 가이드’가 있다고 해요. 그 허니 가이드들은 벌과 나비 같은 화분매개자가 진한 색깔을 보고 꿀이 있는 곳을 찾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존재하죠. 화분매개자를 위한 꽃의 진화는 이것뿐만이 아니랍니다. 예를 들어 나리꽃은 꽃가루가 너무 꽃의 안쪽에 있어서 화분매개자가 접근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꽃술에만 살짝 닿아도 화분매개 ...
- 남원 광한루에 다녀와서기사 l20220626
- 광한루 내부는 굉장히 컸으며 빈 공터에는 커다란 달 조형물이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입구 옆에는 무료로 엽서를 보낼 수 있는 곳이 있어 사촌 동생에게 편지를 쓰기도 했습니다. 길을 쭉 거닐다 보니 느릅나무과의 팽나무가 보였습니다. 이 나무는 약 470년 전 조선시대 명종 13년에 심어진 것으로, 나무의 높이가 무려 18m 이고 남산관 마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