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스페셜
"
성과
"(으)로 총 1,779건 검색되었습니다.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뇌 연구의 첨병으로 떠올랐다. 상하이신경과학연구소에서 발표되는 뇌 관련 연구
성과
는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뇌 연구 선진국의 턱밑까지 추격한 중국은 지난해 11월 국립신경과학연구소를 하나 더 세우겠다고 발표했다. 융합연구를 위해 날개를 하나 더 달겠다는 것이다. “뇌 연구를 ... ...
“바이오기술 2012년까지 R&D 15%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오송단지에는 독
성과
학원과 국립보건연구원 2개의 연구원이 입주할 예정이며 단기
성과
가 장기적 관점에서 시장과 연계해 기술을 개발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김 원장은 “정보기술(IT) 조선 등 정부가 10년 이상을 투자 기술은 대부분 성공했다”며 “생명공학은 아직 세계 최고수준에 들어가지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특화됐다. 생물 전 분야가 아닌 특정 분야에 집중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성과
를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연구기관이 서울에 집중돼 있을 뿐 연구의 시너지 효과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제가 몸담고 있는 가천의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는 인천의 끝자락인 송도에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해결책으로 연구자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이미 개발돼 있는 기초
성과
를 심층 연구하고, 사업화 단계까지 끌어 올리는 과학자들에게 러닝 연구비 등을 지급해 ‘기술의 사업화’를 강화하자는 의견이다. ●문제점 둘… “산업화 단계 지원이 취약하고 정부기관의 신약개발 정책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아니라 내일을 위해서라는 것. 특히 박 원장은 “대기업이 연구개발비를 투자해
성과
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한다”고 강조했다. ‘생명공학의 꽃’으로 불리는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이라는 비판이 나올 정도로 오랜 시간 많은 연구비를 투자해야 한다. 그는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김빛내리 교수입니다. 매월 만난 오피니언 리더의 인터뷰 내용은 모두 취합해 ‘정책연구
성과
’로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됩니다. 이밖에 생명공학을 주제로 한 각종 좌담회를 열고 생명공학계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소식을 전달하는 등 생명과학의 미래를 여는 여론 수렴활동도 계속할 계획입니다.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넘어 나노 수준의 소자를 만들고 혁신적 장치를 만드는 수준까지 왔다”며 “이러한
성과
를 산업체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와 기업, 모두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며 정부도 양쪽 모두에 동기 부여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학협력 이끌어내는 정책 개발 절실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참여할 수만 있게 해줘도 나노기술은 크게 발전할 겁니다. 그건 고스란히 국가 과학기술
성과
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자·기계기술도 좋지만 생명과학과 시너지 높여야 정 센터장은 현재 국내 나노 정책의 단점을 너무 ‘기계, 전자공학’과의 융합만 생각하는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해외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만들 수 있다는 조언에 귀를 기울일 만하다.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만족할 만한
성과
이뤄내길 셋째는 초대형 규모의 효율적 운영이다. 조직의 규모가 크면 내부 소통 및 타 부처와의 협력이 어려워질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선수가 심판을 겸하고 있다"는 비판을 듣지 않도록 원칙을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했다. 그 결과 학생들이 현장에 눈을 뜨고 기업도 준비된 인력을 받게 되는 ‘윈-윈’
성과
를 거둘 수 있었다. 또 기업이 연구소에서 훈련받은 사람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안 뒤로는 생명연과 협력해서 대학원 과정을 신설했다. 생명연에 가서 직접 훈련을 받은 뒤 학교로 와서 논문을 쓰고 학위를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