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83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걸리면 뇌졸중 걸리기 쉽다는데, 도대체 왜?
과학동아
l
2014.04.09
그 결과,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뇌에서 신경세포가 이상한 방향으로 자라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브라카 유전자가 DNA가 훼손되지 않도록 지켜주는 것뿐만 아니라 신경세포가 올바른 방향으로 자라는 데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연구팀은 “유방암에 관여하는 ... ...
노화 막고 암도 잡고? 전천후 단백질 등장
과학동아
l
2014.04.09
'MB12662'를 인체자궁경부암이 있는 생쥐에게 투여하자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된 것을
확인
했다. 권 교수는 "NAD를 조절하는 약물은 암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과정만 골라 억제할 수 있어 부작용이 적다"며 "향후 신개념 항암제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아이폰 배터리 용량 1.5배 늘어난다면…
과학동아
l
2014.04.09
만든 전극 활물질을 이용하자 리튬 2차 전지의 용량이 2배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
됐다. 연구팀은 “공정 자체가 간단하고 비용도 많이 들지 않는 게 장점”이라며 “상용화되면 스마트폰의 배터리 용량이 약 1.5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논문 표절 막을 단 하나의 방법!
과학동아
l
2014.04.09
논문은 16편, 수정이 이뤄진 논문은 47편으로 약 23% 정도가 문제제기에 반응한 것으로
확인
됐다. 반면, 표절·조작 의혹을 개인적으로 전달한 논문 223편 중에서는 철회 논문이 2편, 수정 논문은 5건에 그쳐 전체의 3%만 조치를 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룩스 교수는 “이 결과만 가지고 연구자 전체 ... ...
코 안에 종기 잘 생기는 분~ 비누 쓰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4.04.09
있을 때, 황색포도상구균이 쥐의 코 속에서 군집을 더 잘 형성하는 것을
확인
했다. 연구팀은 "세균을 없애는 것으로 알려진 트리클로산이 오히려 콧물의 단백질에 황색포도상구균이 잘 붙게 돕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미생물학분야 학술지인 ‘엠바이오®’ 8일자에 ... ...
고온 초전도체, 언제쯤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04.09
‘금요일에 과학터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sciencetouch.net)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트위터 ‘금과터’(@sciencetouch)를 팔로우(follow)하면 매주 최신 강연소식을 받아볼 수 있다 ... ...
암 조기진단 회의론 '스멀스멀'
과학동아
l
2014.04.08
환자의 MRI 사진. 밝게 빛나는 흰 부분이 암세포로
확인
된 부분이다. - National Cancer Institute 제공 지난 달 ‘갑상샘암 과다진단 저지를 위한 의사연대’가 우리나라에서 갑상샘암의 발병 비율이 세계 평균 대비 약 10배나 높은 이유를 과잉진단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 논쟁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결과 고리가 7개 있다는 사실이
확인
된 것. 그 뒤 1986년 보이저 2호 탐사로 2개가 추가로
확인
됐고 2005년 허블우주망원경 관측으로 2개가 더해져 총 13개다. 물론 토성 고리의 화려함에는 비교할 바가 못 된다. 그런데 2년 뒤인 1979년 목성을 스쳐지나가던 보이저 2호가 고리를 관측했다(따라서 ... ...
경주 토종개 '동경이' 꼬리뼈 어디 갔니~?
과학동아
l
2014.04.08
유전자 발현 조절 기능을 갖고 있는 '엘라브 계열 2(CELF2)' 유전자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
됐다. 연구팀은 이 두 개의 유전자가 특이 단백질을 만들어내 동경이의 꼬리뼈 퇴화를 유도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김태헌 과장은 “이번 성과를 천연기념물인 경주개 동경이의 혈통 보존과 ... ...
차세대 메모리 소자 '얇게 더 얇게'
과학동아
l
2014.04.08
사실도
확인
했다. 2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저항 상태가 바뀌는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확인
한 것이다. 구동 속도도 매우 빨랐으며 박막의 층수를 조절하면 메모리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교수는 “나노미터 수준에서 두께에 따라 원하는 메모리 성능을 낼 수 있다는 ... ...
이전
1695
1696
1697
1698
1699
1700
1701
1702
17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