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개념조차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자도 없었다. 결국 그는 서울대를 중퇴하고 영국 유학길에 올랐다. 그리고 그곳에서 평생의 동반자가 될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을 만났다.빅데이터로 자살위험군 찾을 수 있다30년이 지난 오늘날 생물정보학이 한국에서도 ...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않았지만, 국내외 다른 연구팀과의 협력으로 체계적인 실험 결과가 쌓이기 시작했고 결국 그 결과를 모아서 2013년 12월, ‘조선왕조실록 밀랍본 복원기술 연구’라는 보고서를 완성했습니다.연구는 밀랍본이 얼마나 훼손됐는지, 훼손된 물리·화학·생물학적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문제의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람들을 당황하게 만든 건 물론이다.새로운 물건에 유난히 관심이 많은 크라켄을 위해 결국 담당사육사는 크라켄의 사육장을 새롭게 꾸며야만 했다. 단순히 바위와 소철나무, 그리고 흙으로만 채워진 보금자리에 상자, 담요, 공, 신발, 그리고 플라스틱 원반 등을 넣었다. 그 결과 크라켄은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깨지는 방향의 변화만 관찰된다. 엔로피 증가의 법칙이라고도 불리는 열역학 제2 법칙은 결국 “일어날 가능성이 큰 일은 일어나기 마련이다”로 바꿔 부를 수 있다. 어찌보면 당연해 보이는 이 평범한 문장이 볼츠만이 우리에게 남긴 가장 놀라운 선물이다.볼츠만의 엔트로피는 1900년대 초 엄청난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여기에 이 지역의 낮은 강수량과 높은 일조량, 강한 바람은 점점 바닷물을 증발시켰고, 결국 염분 농도가 보통 바닷물보다 두 배나 높아지게 됐다. 이런 특수한 환경 덕분에 1000년 전부터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바닷가에서 자라나고 있다. 이 말은, 샤크베이에서 볼 수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아주 ...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움직일 수 있다면서, 티라노사우루스도 시속 30km 정도로 빠르게 걸었을 거라고 추측했다. 결국 최대 시속 8km인 자이로스피어는 티라노사우루스 앞에서는 무용지물이다. ‘바다의 티라노사우루스’의 상어 먹기 쇼!돌고래 쇼라도 시작되는 걸까? 관객들이 호기심 반, 두려움 반 어린 표정으로 ... ...
- 옛날 옛적 말레이시아에…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불시착한다. 임무를 마치고 제국으로 돌아가던 길, 우연히 만난 태양풍에 표류하다 결국 지구에 떨어진 것이다. 가까스로 살아남은 스톰트루퍼 군단은 구조대가 오기만을 기다린다. 하지만 그동안은 꼼짝없이 이곳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과연 스톰트루퍼는 말레이시아 한복판에서 무사히 살아남을 ...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1]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라고 합리화를 한 뒤 냉큼 올라탔다. 물론, 그러지 말아야 했다. 그는 배가 고프 다더니, 결국 광화문 근처 레스토랑 앞에 차를 세웠 다. 나도 배가 고프던 차였다. 지금 생각해 보니, 꼬르 륵거리는 퇴근 길이 아니었다면 한결 이성적으로 생 각하지 않았을까 싶다.들어가 보니 기다리는 줄이 길었다. ... ...
- 도요새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능력이 크게 떨어지게 돼요. 그래서 농사를 몇 번 짓고 나면 토양에 유기물이 부족해져 결국 농사를 포기하게 된답니다.반면 온대지역에서는 오랫동안 농사를 지을 수 있어요. 농작물을 길러 낼 수 있는 흙의 힘이 우수하거든요. 그 증거는 불이 났던 숲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불이 나 나무가 다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정답은 아니었다. 하지만 아 무리 눈을 비비고 살펴봐도, 계산에는 실수가 없었다. 결국 당시의 열역학과 전자기학 중 무언가에 근본적 인 문제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었다. 막스 플랑크대망의 20세기가 밝았지만, 물리학계는 큰 시름에 잠겼다. 세상을 완벽히 설명해준다 믿었던 물리학에 심각한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