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조종장치를 만들어 우주에서 사용하게 했어요.미래형 인공지능 신발GPS(위성항법장치)
기능
과 액정표시장치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열고 닫는 자동 개폐장치신발을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 신고, 벗기가 편하다.아웃솔(밑창) 조정 장치미끄러운 빙판이나 거친 ... ...
Intro. 스티브 잡스는 수학을 좋아했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고 싶다는 것이었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
을 담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평소 제가 자주 하는‘Simple is the best’란 말처럼, 스마트폰의 버튼을 최소화해 누구나 쉽게 쓸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수학에서도 기호와 식을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열정적이고 불안 없이 참여할 수 있었다고 보고했다.또 하나 유익한 발견은 명상이 면역
기능
도 강화시킨다는 점이다. 즉 마음챙김 명상을 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독감 바이러스를 주사하고 난 뒤 혈액 속에 형성된 항체의 양을 조사한 결과 명상을 하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치러주는 셈이다.인공위성을 수리하는 데서 더 나아가
기능
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기능
을 추가할 수도 있다. 오래된 장비를 최신 장비로 교체해 새 인공위성처럼 만든다면 자연히 수명도 늘어난다. 예를 들어, 안테나를 교체해 관할하는 영역을 넓히거나 수신기나 발신기의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 ...
돌돌이, 너는 내 운명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잘게 조각낸 것)를 깔아줬다. 폭신폭신한 느낌을 주기에도 그만이지만 습도를 맞추는
기능
도 있다. 여기에 하루 한 번씩 사육장에 분무를 해 60~70%로 습도를 맞춰줬다. 특히 허물을 벗을 때는 습도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습도가 낮으면 허물을 깨끗이 벗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높은 습도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성숙해진다. 사춘기 청소년들이 자기 감정조절을 잘 못하고 산만한 것도 전두엽의
기능
이 미성숙하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전두엽이 퇴화된 노인의 행동과 감정적으로 행동하는 청소년의 모습은 참 많이 닮아 있다. 옛말에 ‘나이 들면 애가 된다’고 하더니 전두엽의 발달과 퇴화 과정을 생각해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위한 fMRI 연구 결과를 ‘성의학저널’에 발표했다. 작년 1월 스위스 취리히대학병원
기능
성신경외과 라르스 미첼 교수팀이 음핵의 신경을 전기자극한 뒤 fMRI로 관찰한 간접적인 연구를 한 적은 있었지만, 실험 참여자가 해당 부위를 손으로 스스로 자극한 ‘직접적인’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연구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괜히 아무도 없는 층에 섰다 가면 전기료만 더 들 뿐이다. 오래된 엘리베이터에는 이
기능
이 없을 수도있다.엘리베이터 기술, 어디까지 왔나 주말 대형쇼핑몰 1층, 엘리베이터 타는 곳은 사람들로 북적인다. 엘리베이터 하나가 도착하자 서로 타려고 뒤죽박죽이다. 각 층마다 서다 보니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생겨 치료를 지속하기 힘들다. 또 말기 암 환자의 경우 면역
기능
이 너무 약해 바이러스를 넣어도 괜찮은지를 완벽히 증명하지 못했다. 또 바이러스 항암제를 써도 살아있는 암세포는 여전히 많다. 워낙 돌연변이가 많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이들을 모두 죽이는 데는 한계가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바오 교수는 인간 피부보다 1000배 민감한 피부를 개발하고 올해 초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기능
을 더해 병을 진단하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독일 연구진이 만든 로봇용 인공피부는 적외선 센서로 닿지 않고도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➊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에서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