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완료
마무리
성숙
원숙
완비
완벽
d라이브러리
"
완성
"(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데이터를 정리해 빨리 논문을 쓰라고 재촉했고 밀러는 불과 2쪽짜리 분량의 논문을
완성
해 저명한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제출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논문에 유리 교수의 이름이 들어있지 않다 는 것. 보통 같으면 제1저자(주로 실험을 한 사람)에 스탠리 밀러, 교신저자(실험의 책임자로 주로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때문에, 이 시기의 양자역학은 원자의 스펙트럼선에 대한 연구가 주였다. 양자역학은
완성
되기 이전부터 여러 분야에 응용되기 시작해 이제는 거의 모든 물리과학 분야의 토대가 됐다. 양자역학을 활용한 역사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일은 20세기 과학사를 처음부터 다시 이야기해야 할 정도로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발현하고, 창의적 아이디어의 적절성에 대한 검증기를 거쳐야 비로소 창의적인 산출물로
완성
되고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준비 - 부화기 - 발현 - 검증기).또 창의성 전문가인 와이즈버그(Weisberg) 박사는 ‘10년 법칙(the 10-year rule)’을 강조한다. 진정한 창의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서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는 아직 기능이 무엇인지 모른다”며 “‘미
완성
작품’인 유전자지도는 단백질 연구로
완성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스텔로 교수는 “염색체 기반 인간단백질기 초사업 연구는 몸속 모든 단백질을 찾을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학회장에서 숙소로 돌아오는 길에 끝없이 ... ...
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저는 베르누이 이론을 확장해 통계에서 가장 위대한 정리인 ‘중심극한정리’ 를
완성
했습니다. 중심극한정리는 동전던지기와 같은 시행을 무수히 많이 반복하면 확률 분포가 가장 보편적인 분포인 정규분포 형태가 된다는 이론입니다. 그러니까 로또 1등 당첨자가 10명씩 10번 나오더라도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완성
된 작품을 보면 정말 뿌듯해요. 저도 4월에 단편 애니메이션 ‘새신을 신고’를
완성
했답니다.벌써 작품도 만들었군요! 정연 학생이 앞으로 특별히 하고 싶은 일이나, 만들어 보고 싶은 애니메이션이 있나요?전 애니메이션 말고도 영상에 관심이 많아요. 둘을 합친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어 보고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메뉴키가 하나 덧붙어 총 104개가 됐다. 윈도를 운영체계로 쓰는 컴퓨터의 키보드가
완성
된 것이다.그런데 이동하면서 쓸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가 나오면서 여기에 적당한 키보드가 필요했다. 1987년 도시바의 노트북에 달린 키 84개짜리 키보드는 노트북용 키보드의 표준이 됐다. 노트북은 공간에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만들었다. 이 자료를 컴퓨터로 처리해 형질 비교 자료의 집합인 ‘데이터매트릭스’를
완성
했다. 예를 들어 치골의 위치가 같은지, 날개의 길이가 일치하는지, 두개골의 모양이 닮았는지 등을 각각 조사해 두 종의 연관 관계를 정리하는 식이다.그 결과 시조새와 ‘사촌’지간인 샤오팅기아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만든 뒤 저장하고, 분리된 흡수제는 다시 첫 번째 통으로 보내 재활용한다.이 기술이
완성
되면 큰 파급력이 예상된다. 윤 박사는 “앞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기술의 시장 규모가 커질 것이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이 크다”며 “이 기술은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중에서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있다.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가능성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김기정 빔라인부연구원은 “
완성
된 뒤 실제로 빔라인에서 연구를 하다 보면 지금은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험이 축적되면 새로운 응용 연구 분야가 개척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가속기 자체의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