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맥스웰이 죽은 지 8년이 지난 뒤 독일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가 마침내 맥스웰의
주장
대로 빛이 전자기파라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했다.1865년 맥스웰은 고향 스코틀랜드로 돌아갔다. 지주로서 영지를 관리해야 한다는 의무감과 함께, 전자기학과 기체분자운동론에 대한 입문서를 쓸 ... ...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밝혔다. 그는 “영어로 강의를 진행할지는 교수 개개인에게 맡겨야 한다”고
주장
했다. 또 다른 교수는 “우리말이 아닌 영어로만 학문을 해야 한다는 것은 국가의 수치”라고 글을 올리기도 했다. 서 총장은 기자가 방문한 이 날, “학생들이 영어 수업과 우리말 수업중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화산성 지진이 증가하고 천지 주변 암석에서 균열이 발견돼 분화 징후가 뚜렷하다는
주장
이 제기되고 있다.하지만 국내 지진 및 화산 연구자들은 일본 지진의 여파가 백두산 분화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영수 지진연구팀장은 “일본 센다이 지진 뒤 국내에 발생한 몇 개의 지진을 ... ...
인류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사이의 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주목했다. 이는 두뇌 크기와 신체적 특징(예를 들면 직립보행)이 함께 변화했다는 기존
주장
을 뒤집을 수 있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윌 아르농쿠르-스미스 뉴욕자연사박물관 큐레이터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처럼 어설픈 직립보행을 하는 종이 있었기 때문에 사례가 없진 않다”며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중동지역에서는 돼지를 기를 수 없어 아예 더럽게 여기기로 했다는 것이 마빈 해리스의
주장
이다. 인도에서 소를 숭상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인도에서는 소를 먹는 것보다 기르며 밭을 갈고 우유를 얻는 것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에 먹는 것을 금지해 왔다.인간이 필요에 의해 가축을 선택해 기른 것 ... ...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멸종위기에 처한 참다랑어를 보호하는 데 이런 목장이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주장
한다.][➍ 그린피스 선원들이 몸으로 남극 빙하 위에서 “고래 사냥을 멈춰 주세요”라는 글자를 연출하고 있다.][➎ 2008년 태평양 공해에서 대만의 원양어선이 상어를 잡아 올리고 있다. 상어 역시 남획으로 개체수가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년대 연구 결과들을 ‘네이처’ 같은 일급저널에 실은 인정받는 과학자였지만 이 논문이
주장
하는 ‘이단적인 가설’은 주류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rd쥐에서 원뿔세포가 100% 파괴된 건 아니었기 때문에 남아 있는 소수의 원뿔세포가 빛의 신호를 전달할 가능성을 배제할 ... ...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 미국의 수학교육 논쟁미국이 전자계산기를 쓰기 때문에 수학실력이 좋지 않다는
주장
이 있다. 도서 ‘수학전쟁’에 따르면 미국 학생의 평균 수학성취도는 전자계산기 사용 전부터 좋지 않았고, 전자계산기는 계산력보다 개념 이해를 강조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확인된다.미국 학생의 ... ...
PART 4. 전자계산기 도입에 관한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계산력 중 어느 것에 더 가치를 둘 것인가하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
했다. 계산력과만 관련지으면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격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수학적 사고력을 높이고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을 보고 전자계산기를 써야 한다는 뜻이다. 2 전자계산기 ... ...
“수학은 뇌 전체 훈련에 효과적”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공부하면 뇌 전체를 훈련시킬 수 있다는
주장
이 나왔다. 황선욱 숭실대 수학과 교수는 4월 1일 숭실대에서 열린‘제6회 수학교육 대중화 강연’에서 수학적으로 사고하면 자연스럽게 뇌 전체를 활용하게 된다고 발표했다.지금까지 수학과 같이 이성적인 학문은 좌뇌의 능력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