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병
병환
병고
우환
d라이브러리
"
질환
"(으)로 총 1,891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 대표적인 예는 혈우병이다.항(抗) 응고제도 때때로 문제를 일으킨다. 예컨대 심장혈관
질환
자에게는 항 응고제가 치료제로 투여된다. 그것은 말 그대로 혈액의 응고를 방해하는 약물이다. 그런데 이 항 응고제의 부작용으로 코피가 나는 경우도 종종 있다.그런가 하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인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주목할 만하다. 탁한 공기를 호흡하는데서 생기는 목과 기관지 폐 등 호흡기 계통의
질환
을 정화하고 심장 혈관 등 순환계통에 좋은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이미 널리 인정된 사실이다. 적어도 주 1회 정도 미역국을 먹는 것이 바로 조상들의 지혜를 계승하는 지름길이다.광산노동자들의 ... ...
국내에서도 차세대 구리 레이저가 활동중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생긴다), 얼굴의 붉은 반점 등이다. 이들
질환
은 레이저가 등장하기 전까지 난치성
질환
으로 꼽히고 있었다. 간혹 피부이식수술 등이 행해지기도 했으나 비용이 엄청나 거의 손을 대지 못했다.한편 파장이 5백11㎚인 녹색 레이저빔은 구리 레이저의 개성을 한껏 빛내주고 있다. 다른 레이저로는 ...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또는 펩티드 신경호르몬들의 합성과정들이 밝혀져, 이제까지 사용하던 신경정신
질환
치료제들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더 특이적인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달리 독감의 경우에는 백신이 개발돼 있다. 따라서 65세 이상의 노약자, 심장
질환
만성폐
질환
당뇨병 신부전증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들과 같이 독감에 걸릴 위험성이 큰 사람들은 독감 예방접종을 매년 받는 것이 좋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항원성이 매년 바뀌기 때문에 항상 가장 최근에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알츠하이머병과 뇌기능과의 관계를 살펴보자. 정신분열증/뇌세포의 감소?대표적인 정신
질환
으로 전세계적으로 전 인구의 1%가 앓고 있으며 주로 청년기에서 발병해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다.뇌의 기질적 장애없이 사고(思考)의 장애가 동반되며 지각 행동 등 인격의 다양한 측면에서 비정상적인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실험을 해 본 결과 눈앞에 지나기는 빛을 인식할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한편 다른 뇌
질환
환자의 경우 지능이나 언어능력에 아무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윤리적인 판단을 전혀 하지 못하는 일이 빚어졌다.최근 과학잡지의 화제거리로 등장한 이런 환자들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 ...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바쁜 일과 중에 시간을 내어 근처 안과에 가서 진단을 받은 결과, 수술을 요하는 안과
질환
에 걸린 것을 알았다. 그가 1주일 이상을 입원해야될 것으로 생각하고는 의사에게 시간적 여유를 달라고 말하자 의사는 빙그레 웃으며 5~10분이면 수술이 끝나니 지금 해버리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의사는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설사 경련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가끔 게실염 부위에 구멍이 뚫려 복막염이라는 심각한
질환
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게실염은 생각보다 쉽게 치료할 수 있다. 항생제를 복용하고 염증이 가라앉을 때까지 죽같은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면 된다. 그 후에는 섬유소가 풍부한 식단을 짜고 변비치료에 ... ...
자외선의 양 측정 콘택트 렌즈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한 지역에서도 지역주민의 13%가 백내장에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이렇게 심각한 안과
질환
을 예방하려면 먼저 우리의 눈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야 하는데 최근 퀸스랜드대학의 로렌스 히스트교수팀은 자외선량 측정용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 CR-39 또는 알릴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