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유전자가 3만173개(2.45Gbp), 그리고 닭이 2만2117개(1.05Gbp)다. ※ 베이스페어(bp): 유전체 크기를 나타내는 염기쌍의 단위. 장길원 국립축산과학원 동물유전체과 농업연구관은 “유전자를 활용해 저항성을 가지는 가축으로 개량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며 “가령 소의 경우 ‘SP11 ...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무절연 세션이 별도로 마련되기도 했다. 절연체가 사라지면서 초전도 자석의 크기가 대폭 줄었다. 4m에 이르던 초전도 코일의 지름은 1.2m로 3배 이상 작아졌고, 무게도 130t(톤)에서 6t으로 20배 이상 가벼워졌다. 韓 중이온가속기에 활용국내에서는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중이온가속기에 무절연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가 활발하게 작용하는 온도다. 또한 얼음에 대한 물의 포화수증기압★의 차이가 가장 크기 때문에, 같은 조건이라면 물보다 얼음으로 더 잘 성장한다. 그래서 아름다운 눈결정으로 자라날 수 있는 얼음 결정 씨앗이 많아진다. 포화수증기압★ 온도마다 공기 중에 차 있을 수 있는 수증기량이 다른데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따라 기울어진다는 것이지. 이렇게 스톤 스스로 회전을 만들어! 얼음 표면에는 미세한 크기의 기포도 많아. 경기장에 뜨거운 물을 뿌려 얼음 표면에 미세한 얼음알갱이인 페블을 만들었기 때문이야. 이 페블은 스톤의 진행을 방해해. 그래서 스윕, 일명 빗자루질을 하지. 스위퍼라 하는 두 명의 ...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적당한 크기로 토막 낸 갈비를 삶아 달콤짭짤한 간장 양념에 각종 야채를 넣고 1시간 이상 푹 끓여내야 갈비찜이 완성된다. 갈비를 제외한 야채 등 각종 재료만 8가지, 여기에 10종 이상 양념을 섞어야 갈비찜용 특제 양념장이 완성된다. 바깥에서 먹기에도 가격이 만만치 않다. 소(小)자 기준 평균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많은 세포에서 세포 자멸 기작이 작동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파리는 정상적인 크기와 모양을 갖춘 성충으로 자랍니다. 여기서 우리는 방사능의 영향을 받은 세포들이 자멸하면서 주변 세포의 세포 분열을 유도했고, 그 결과 새로 분열된 정상 세포들이 자멸한 세포들의 빈자리를 채운다고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칩을 3년 동안 개발했다. 바이오칩은 유리 기판 위에 금색 전자회로가 새겨진 모양으로 크기가 명함 정도다. 실제로 전기를 흘려준다는 점에서 전자회로가 맞지만, 회로 끝에서 세포가 자란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자회로와는 다르다. 유리 기판 위에 새겨놓은 18개 지점에 세포를 넣어 배양시킨 뒤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있다. 여러 개의 음원을 합치면 그만큼 소리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더뮤지션은 소리의 크기가 일정 수준을 넘으면 실시간으로 압축하는 알고리즘을 추가했다. 수많은 소리 조각을 실시간으로 모아 합치고 압축하기를 반복하는게 더뮤지션이 음악을 내보내는 원리다. 미래의 모습은 음악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는 없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향후 신체 내에서 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박테리아 크기의 미세 로봇을 만드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doi:10.1038/nature2465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변하면서 접착 능력을 나타내는 본드나 순간접착제 등의 접착제와는 다르다. 같은 크기의 종이 여러 장의 끝을 정확히 맞춰놓고 접어보면, 안쪽 종이와 바깥쪽 종이의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서 접고 나면 끝부분이 정확히 포개지지 않는다. 여러 층으로 이뤄진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도 접을 때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