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빌딩
건축물
건조물
집
사옥
옥사
구조물
뉴스
"
건물
"(으)로 총 1,79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 한가운데로 우주가 찾아왔다
과학동아
l
2013.12.03
시나 지자체에서 만든 공공천문대지요. 보통 그런 곳은 컨텐츠보다는 망원경이나
건물
크기 같은 외적인 면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천문대는 망원경을 전시하는 곳이 아닙니다. 작은 망원경으로도 얼마나 감동적으로 별을 보여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방문객에게 ... ...
[수도권]코닿을데 천문대… 서울하늘에 별이 쏟아져
동아일보
l
2013.12.03
과학동아천문대는 용산구 청파로 나진전자월드 7층에 마련된 도심 속 천문대다. 상가
건물
옥상을 개조해 공원처럼 꾸민 이 천문대는 야외 관측소와 지름 7m 원형 돔을 갖추고 다양한 교육 및 관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초중고교 학생들과 개인 및 가족 프로그램으로 나눠 진행한다. 김영진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원자폭탄의 30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다행히 사망자는 없었지만 충격파로
건물
유리창이 깨지면서 파편에 다친 사람과 열기로 가벼운 화상을 입은 사람 1600여명이 병원을 찾았다고 한다. 소행성이 충돌하고 아홉 달이 지난 시점에서 이 사건을 분석해 재구성한 논문 세 편이 발표됐다. 11월 1 ... ...
[채널A]北, 무수단리 로켓 발사장 공사 재개
채널A
l
2013.12.01
위치한 동해위성발사장. 로켓 발사를 총지휘하는 발사통제센터가 선명하게 찍혔습니다.
건물
외벽만 세워져 있던 두 달 전과 비교해 지붕과 노면 공사까지 완공 직전의 모습입니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는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 동해 위성발사장의 시설 확장 공사를 ... ...
과학계 연구성과로 10년 내 250개 벤처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인력 풀을 구성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테크비즈센터(TBC)
건물
에 사무실을 마련한 한국과학기술지주는 앞으로 출연연 개발 기술 중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을 내부 전문가가 직접 선별하고, 이 기술을 사업화할 기업을 발굴해 투자를 진행하거나 신규창업을 추진하게 된다 ... ...
철길 위 지어진 집에서 허니문 즐길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열차 운행으로
건물
하부 지지력이 약해지는 문제는 어떻게 막을까. 연구팀은
건물
을 지을 때 지반에 박는 마이크로파일의 모양을 바꿔 선단 지지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이를 극복하겠다는 계획이다. 보통 파이프처럼 생긴 기다란 마이크로파일을 땅 속 암반까지 박아 지지력을 확보하는데, 이 ... ...
첼랴빈스크 유성 폭발 비밀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때문이다. 이날 발생한 첼랴빈스크 유성체 폭발 사건은 1600여 명을 다치게 하고
건물
7000여 채를 파손시켜, 1908년 시베리아 퉁구스 대폭발 사건 이후 가장 강력한 소행성체 충돌 사례로 이름을 올렸다. 하늘을 가로지른 유성체의 궤적이 산디아 국립연구소의 레드스카이 슈퍼컴퓨터로 ... ...
한반도에 불교를 들인 이차돈의 순교
동아사이언스
l
2013.11.10
굴불사의 사면석불 위로 다소 가파른 돌계단이 있는데 백률사로 오르는 계단이다. 현재
건물
로 대웅전과 요사채 밖에 없지만 이차돈의 순교와 신라의 화랑 무례량을 구출한 대비천에 얽힌 이야기 등이 전해지는 곳이다. 이들 전설 등을 볼 때 매우 큰 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임진왜란으로 큰 ... ...
'러시아 운석우' 120만 년 동안 태양계 떠돌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7
초속 19km의 속도로 가로지른 후 27km 상공에서 폭발했다. 1600여 명이 부상했고 7000여 채의
건물
이 파손돼 전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킨 소행성의 정체는 화성과 목성사이 소행성대에 있던 모천체에서 120만 년 전에 떨어져 나온 조각인 것으로 밝혀졌다. 러시아 과학아카데미와 미국 항공우주국 ... ...
묻힌 기술, ODA 덕분에 개도국서 빛 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말했다. 또 그는 “해외기술원조 사례를 통해 재조명된 PCM 기술이 운송 수단 뿐만 아니라
건물
의 저전력 냉난방, 첨단전자제품의 발열을 잡는 데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