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습
연구
면학
스터디
학업
수업
글공부
뉴스
"
공부
"(으)로 총 1,69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창조 기업]‘
공부
하는 일터’ 통해 품질향상 기여
동아일보
l
2013.04.25
이끌어냈다. 이를 통해 회사는 ‘현장밀착형 지원서비스와 상시훈련 체계가 만들어낸
공부
하는 일터’로 거듭났다. ‘일터의 배움터화’가 이뤄지면서 직원들 사이에 스스로 학습하고 실천하는 분위기가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스스로 공장 안팎을 점검하며 위험시설을 개선하고 안전시설을 ... ...
[신나는
공부
]고입 자기주도학습전형… 5대 오해와 진실
동아일보
l
2013.04.25
의사의 모습을 보거나, 슈바이처 박사 등의 책을 읽으며 꿈이 생겼고, 의대에 진학해
공부
한 뒤 국경없는 의사회에 들어가 사회에 공헌하겠다’고 쓰는 유형이 대표적이다. 박지훈 용인외고 입학담당관은 “중학생은 꿈이 계속 변하는 시기라고 가정하고 평가하기 때문에 하나의 진로 목표로 통일된 ... ...
[신나는
공부
]크레파스 대신 ‘S펜’으로 생각 바로 표현하니 창의력 쑥쑥
동아일보
l
2013.04.25
[동아일보] 갤럭시 노트 10.1 어린이 그림대회 ‘창의교육’이 교육계의 화두로 떠올랐다.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에는 창의성과 상상력, 그리고 예술적 감성을 지닌 ‘융합형 인재’가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부는 과학, 기술, 예술 등을 융합한 교육인 이른바 ‘STEAM(Science,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반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이해하지 못하는 게 당연하다는 얘기만 해줬어도 맘 편하게
공부
할 수 있지 않았을까. 어디에서인가 파인만이 말했던 것처럼. “양자역학을 이해했다고 말하는 사람은 양자역학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때 과학적 감각을 유지할 수 있고 열린 마음과 호기심을 지닐 수 있답니다. 생물학을
공부
할 때는 역사적인 배경부터 시작하세요. 현재 트렌드의 바탕을 이해해야 그 한계도 알 수 있으니까요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7세기 초 토머스 해리엇이 먼저 생각해내기는 했다. 정작 라이프니츠는 훗날 ‘주역’을
공부
하면서 고대 중국인들이 음양을 통해 2진수 체계를 이해하고 있었다고 믿었다. 2진수를 발견한 게 별 일 아닌 것 같지만 사실 이런 아이디어를 떠올리기는 쉽지 않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말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태어난 페리시 젠킨스(Farish Jenkins)는 과학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프린스턴대에 철학을
공부
하던 그는 그러나 여름방학 때 우연히 저명한 고생물학자 글렌 젭슨의 와이오밍 화석 탐사대에 참가한 뒤 화석 탐사에 매료됐다. 1964년 예일대에서 고생물학 박사과정을 시작한 젠킨스는 초기 포유류 화석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초 93세로 세상을 떠났다. 미국 워싱턴DC에서 태어난 브리튼은 버지니아대에서 물리학을
공부
한 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맨해튼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그 뒤 학교로 돌아와 1951년 프린스턴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브리튼은 생물학으로 관심을 돌려 카네기연구소에서 생물리학을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미국 텍사스 휴스턴에서 태어난 와일리 베일(Wylie Vale)은 라이스대학에서 생물학을
공부
한 뒤 베일러의대에서 생리학으로 1968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0년 지도교수인 로저 기유맹이 소크연구소로 옮기면서 베일도 따라갔는데 이곳에서 이들은 중요한 호르몬을 잇달아 규명해내는 성과를 낸다. 즉 19 ... ...
세상에 나오면서 내 운명은 결정된걸까?
수학동아
l
2013.04.24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생물학은 본래 논리를 배우는 학문이면서, 공학과 융합을
공부
하는 시작점이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서울대 공대생들에게 오랫동안 ‘생물학’을 가르쳐 온 저자는 항상 생물학 강의를 재미있게 그리고 유익하게 할 수 있을까 생각했단다. 책을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