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3,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10
- 5년 전 어느 봄날이었다. 김민수 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편안한 마음으로 학교에서 매주 개최하는 융합세미나에 참석했다. 다른 전공 교수가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는 세미나여서 부담 없는 시간이었다(게다가 점심까지 해결할 수 있었다!). 이날 주제는 ‘후각수용체와 그 활용’. 구재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10
- 적대감이 가득한 초록빛 눈동자. 1985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표지에 실린 아프가니스탄 난민촌 소녀는 전쟁의 참상을 전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로부터 16년 뒤, 미국에서 그녀의 생사를 확인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름도 나이도 모르는 상태에서 쉬운 일은 아니었다. 본인이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10
- 생태계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표는 ‘네트워크’다. 네트워크가 풍부할수록 생태계는 건강하다. 또 개체가 네트워크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그 개체의 중요성을 가늠할 수 있다.과학 생태계에서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는 노벨상 수상자들은 어떤 연구자 네트워크를 이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09
- 가상현실은 단어 그대로 가짜 체험이다. 현실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일을 사람의 시각, 청각, 후각과 같은 감각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현실처럼 만든 시공간에서 체험한다. 이 가상공간은 두뇌가 인식하는 방식이나 생체 신호를 흉내 내서 만든다.가상현실은 1930년대에 군사 훈련 시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09
- 책에서, 칠판에서만 봤던 수학이 때로는 ‘포켓몬 고’ 게임처럼 때로는 한 편의 영화처럼 우리의 오감을 자극한다면 믿겠습니까? 지난 7월 20일부터 23일까지 사흘간 독일에서 열린 2016 베를린 이매지너리 콘퍼런스에서 세계 각국의 수학 대중화 전문가들이 모여 좀 더 짜릿하고 좀 더 재미있는 수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09
- 20년 전 추석, 귀향길에 거치는 고속도로는 영동고속도로 하나였다. 20년이 지난 지금 내부순환도로에 서해안고속도로, 그리고 중부내륙고속도로까지 여러 고속도로를 거쳐갈 수 있게 됐다. 지하철 노선도 역시 날로 복잡해지고 있다. 이 새로운 길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휴대전화 사용, 활동 ... ...
- [Career] 봉사 활동?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요”과학동아 l201609
- ‘봉사활동으로 혼자 생활하시는 할아버지, 할머니의 이불을 빨아 드리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조예원 학생(한영외국어고 2)은 봉사활동을 하다 의문을 떠올렸다. 질문은 소박했지만, 해결 과정은 결코 소박하지 않았다. 예원 학생은 평소 손에서 놓지 않고 사용하던 스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09
- 산업과 연계하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센터장을 맡고 있는 이 교수는 현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근로복지공단 등과 함께 중소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및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예산이나 시간, 전문성이 대기업보다 부족해 새로운 기술이나 사업을 분석하는 데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09
- 가상현실을 구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몰입감이다. 가상현실 속 영상을 현실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려면 사람이 볼 수 있는 시야각을 포함하며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위상적으로 ‘육면체 = 구’공간의 연결 구조를 연구하는 위상공간에서는 구멍의 개수로만 물체를 구분한다.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09
- 장내미생물의 기원이 이제야 서서히 윤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장내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전부터 뜨거웠다. 불을 당긴 건 미국 워싱턴대 제프리고든 교수팀이었다. 2006년 ‘네이처’에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