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d라이브러리
"
응용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
과학동아
l
201512
대처에 중요한 두 가지는 녹색기술의 발전과 그것을 뒷받침할 자금이다. 지난 5월 국제
응용
시스템분석연구소(IIASA)와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PIK)는 기술이 발전하면 지구 기온 상승폭을 1.5℃로 막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894년 영국의 한 경제학자가 타임지에 “런던의 인구가 지금과 ...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
과학동아
l
201512
내려 움직이게 하는 영상(뱀 로봇은 ‘후진’도 가능했다!)을 보여주며 컴퓨터공학의
응용
분야를 설명했다. 학생들은 감탄하면서도 “컴퓨터공학은 수학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수학을 잘해야 한다”는 말에 한숨을 내뱉기도 했다.KAIST 전자공학과 강경구 씨는 전기전자공학의 세부 분야를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11
멈추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쓰기로 결정했다.빛을 멈추기 위해 EIT의 원리를 한 번 더
응용
한다. EIT에 사용되는 루비듐은 에너지 준위가 세 개인 3준위 원자계 물질이다(87쪽 3 참조). 3준위 원자계는 두 개의 바닥 준위와 한 개의 들뜬 준위가 있다. 일반적인 루비듐은 780nm 파장의 빛에 광자를 흡수하고, ... ...
야구는 수학 놀음
수학동아
l
201511
현재는 1.83을 사용한다. 3월 수학동아에서는 이 지수를 1.87로 설정했다. 이장택 단국대
응용
통계학과 교수는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한국 프로야구 원년부터 2005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지수가 1.87이 가장 잘 맞아떨어졌으나, 2013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서는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10
왜 경계선 위에서 생기는지는 아직 풀리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한 영국 케임브리지대
응용
수학 및 이론물리학과 키이스 모팻 교수는 와 주고받은 이메일에서 “갑작스럽게 막의 기하학적 상태가 바뀌는 과정은 단순하지만 증명하기 어려운 예로, 연구할 만한 가치가있다”고 말했다.띠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510
알아? 분류군이 곤충 전체예요.”B가 말을 얹었다. “요새 누가 기초연구를 합니까. 전부
응용
위주지. 분류학자가 멸종위기라는 말까지 돌잖아요. 유전학이 거기에 쐐기를 박았지. 요즘 학자들은 곤충을 직접 보지 않고 DNA를 분석하니 파브르의 연구를 돌아볼 일이 더 없어졌어.” “출신도 중요해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09
완전히 인식하지는 못했다. 기초 개념을 정확히 규명하기에 앞서 이론을 전개하고
응용
하는 데 바빴기 때문이다. 좀 더 따지고 들면 두 사람의 이론은 애매한 대목이 너무도 많았다.특히 미분의 가장 기본이 되는, 무한대로 쪼개 아주 작아진 ‘무한소’라는 개념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만족스러운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
과학동아
l
201509
수 있어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강태구 교수는 “전공 수업에서 배운 이론을 실전에
응용
하면서 학생들이 재미와 의욕을 갖게 된다”며 “로봇축구대회 자체가 하나의 교육”이라고 말했다. 로봇 축구대회도 휴머노이드가 대세!올해 FIRA컵에는 15개국 63팀 450명이 참가했다. 국내에서는 숭실대,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09
1초당 18.8m로 이동했다.미국 베네스다국립보건원 리처드 피츠휴 박사팀은 이 방정식을
응용
해 신경세포망★ 전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했다. 신경세포 여러 개가 연쇄적으로 흥분하면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현상을 한눈에 보여주는 ‘피츠휴-나그모 방정식’을 만들었는데, 그 후 학자들은 이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09
역사의 산 증인아직 수많은 편미분방정식에서 정칙성 문제조차 해결되지 않았다. 현실에
응용
할 때는 보통 컴퓨터 수치해석으로 근사해를 구한다. 결과는 당연히 실제와 다를 수밖에 없다. 채동호 교수는 “물리적 근거가 없는 수치해석 모델이 상당히 많다”고 말했다. 이런 모델에서는 초기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