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대학원
d라이브러리
"
전문학부
"(으)로 총 26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06
이름 _ V3. V는 백신[Vaccine]의 머리글자.성별 _ 중성생년월일 _ 1988년 6월 1일. '호돌이'와 동갑.집주소 _ www.ahnlab.com특기 _ 컴퓨터 바이러스 잡고 악성코드 제거하기.존경하는 인물 _ 안철수 1988 WED 06. 01세상의 빛을 보다오늘은 내가 태어난 날. 의대 박사과정에 다니던 학생 안철수가 나를 만들었다.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03
“기회는 적극적으로 찾는 사람에게 와요” “고3 초에 시작했던 교수님과의 멘토링은 제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건 중 하나랍니다. 모니터 앞에 앉아 망설이며 키보드를 두드리던 일이 이렇게 큰 경험을 가져올 줄은 몰랐어요.” 지금은 미국 코넬대 3학년생인 정수연 양은 WISE 웹사이트에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12
“30년 전만 해도 청계천에서 무얼 파는지 아는 게 힘이었습니다.”한국형 인간형로봇 ‘휴보’의 아버지인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휴보를 개발할 당시 청계천의 전자상가에서 다리품을 팔았다. 로봇에 맞는 커넥터(전선 연결기구)나 전선케이블을 구하러 다녔던 것. 사실 청계천은 ‘대한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10
“32번 부품을 위치제어시스템 4번 자리에 꼽고, 먼지방지덮개를 씌우면! 아~ 드디어 나만의 인공위성 완성! 앗, 태양전지판을 붙이는 걸 깜빡했네. 그런데…, 어디다 뒀더라?”인공위성 모형을 조립하는 얘기가 아니다. 그동안 수억원의 제작비에 수년씩 걸려 국가적 차원에서만 개발했던 인공위성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10
“한국전자통신연구소의 연구진들이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독자설계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발은 우리나라가 16메가 D램을 개발, 메모리용 반도체분야에서 선진국에 진입한 것과 맞먹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개가로 평가되고 있다.…”1990년 10월 24일 서울경제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08
KAIST인 유전자:‘자유’로 꿈틀대는 ‘상상’ 에너지예술가로 변신한 과학자이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KAIST 출신이 예술가로 거듭나다니 이색적인 경력이 아닐 수 없다. 이진원 교수는 경기과학고 재학 시절 열정적이었던 화학 선생님에게 매료돼 자연스레 화학을 전공한 ‘100% 과 ... ...
한국 조선공학계 최고의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708
‘최초’는 ‘최고’의 걸림돌이 될 수 없다 “요트처럼 아름다운 배를 만드는 게 꿈이었지만 지금은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설계하고 있어요.” 대우조선해양(주) 선형연구개발팀의 이연승(39) 연구원은 한국 조선공학계 최초의 여성 박사다.그는 부산대 대학원에 진학할 때도 조선공학 분야에서 최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08
과학만 잘 하면 평생이 보장되는 시대가 열렸다. 지난 3월 22일 과학기술부는 ‘요람에서 황혼까지’ 이공계 인력을 완벽하게 양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과학영재의 조기 발굴부터 퇴직한 과학기술인 활용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친 프로그램을 만든 것.이미 선진국에서는 ‘인력이 경쟁력’이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08
KAIST1. 세계가 주목하는 스타과학자가 있다! 세계의 수학계에 필즈메달이 있다면 우리나라의 과학계에는 ‘젊은 과학자상’이 있다. 이 상은 필즈메달과 마찬가지로 수상자의 자격을 ‘40세 이하’로 제한하므로 과학계의 신인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는 바로 ‘젊 ... ...
3. 역사 속의 그녀들
과학동아
l
200705
지난해 말 국내 언론은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처음으로 여성과학자가 오르게 됐다는 소식을 전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의사이자 과학자인 김점동(金點童, 1877~1910) 여사가 그 주인공이다. 서재필 이후로 두번째 한국인 의사인 그는 열정적인 의료활동과 헌신적인 무료 진료활동으로 당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