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폭
나비
가로
면적
넓이
d라이브러리
"
너비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6만 분의 1 정도밖에 안 되는 파장 500nm의 초록빛을 예로 들어보자. 이 경우 금속부분의
너비
는 50nm 정도여야 한다. 이 정도 수준으로 메타물질을 다루는 일이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투명망토를 옷으로 만들 만큼 큰 메타물질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 작은 조각을 ... ...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맞춰선 잎맥만을 가지지요. 그래서 옥수수 잎을 길이 방향으로 찢으면 쉽게 찢어지지만
너비
방향으로는 찢기가 어려워요.지금까지 살펴본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의 운명은 식물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꽃에서 큰 차이를 나타냅니다. 쌍떡잎식물의 꽃잎개수는 4나 5의 배수예요. 4, 8장 또는 5, 1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정사각형으로도 된다. 사람의 키를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 잰 길이는 두 팔을 가로 벌린
너비
와 같기 때문이다.” 두 다리를 키의 $\frac{1}{4}$만큼 벌리고 양팔은 머리끝 높이로 벌려서 X자 모양으로 섰을 때 양 손과 발의 끝을 연결한 원의 중심은 배꼽이 된다. 차렷 자세로 양팔을 뻗어 T자 모양으로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때문에 미니 블랙홀을 직접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크레인 교수팀은 우주공간에
너비
250km의 태양전지판을 짓고 감마선 레이저로 미니 블랙홀을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감마선은 전자기파 가운데 에너지가 가장 높다. 워낙 강력해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정도로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될 만하다.”정약전은 홍어의 크기와 형태적 특징을 비교적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다.
너비
가 6~7자라면 120~140cm 정도에 해당한다. 물고기치고는 지나치게 큰 것 같지만 지금도 흑산도 예리항에서는 이 정도 크기의 홍어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또 물감을 풀어놓은 듯 붉은 몸빛, 연잎처럼 넓적한 몸체, ... ...
제4회 청소년 표준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이외에도 신발을 살 때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발 길이와 볼
너비
뿐 아니라 발바닥의 모양을 그려 넣자든가 지역이나 버스회사, 정류소마다 다르게 생긴 버스 노선 안내도를 통일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매운 음식을 고를 때 매운 정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대해 설명해줬다. 1991년 건조된 온누리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탐사선으로 길이 63.8m,
너비
12m에 무게가 1422t이나 나간다. 항해속도는 14.5노트(시속 27km)다. 이 선장은 “온누리호는 배 아래 앞뒤로 작은 프로펠러가 있기 때문에 좌우로도 이동할 수 있고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며 “최대 4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계곡’이 있다.또 브라질에 있는 이구아수 폭포는 세계에서 물줄기가 가장 많은 폭포다.
너비
는 4.5km, 물줄기가 떨어지는 평균거리는 70m나 된다.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무려 20km 밖에서도 들릴 정도 라고 한다. 이 두 폭포 모두 최종 후보에 당당히 올랐다.산호가 모여 있는 바다는 무슨 색?필리핀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8만km가 넘는 포장도로를 건설했다. 마차가 다니는 4m
너비
의 차도를 만들고, 양 옆으로 3m
너비
의 인도를 함께 만들었다. 차도 옆에 경계석을 세우고 같은 높이의 인도를 만들어 사람들을 보호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23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경찰청의 지시로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시작했다는 ... ...
화성 표면의 다각형은 물의 증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다각형의 지름은 70~140m였고 250m나 되는 것도 있었습니다. 다각형 사이의 갈라진 틈새는
너비
가 1~10m였습니다. 매리 박사는 용암과 같이 뜨거운 액체가 식을 때 나타나는 압력 때문에 생기는 틈새의 길이와 다각형의 크기를 예측하는 수학모델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나올 수 있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