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세대학"(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 주 동안 실험 잘 진행하셨나요? 실험을 잘 하는 것 보다는 재밌게 했는지가 더 중요해요.” 아직 더위가 가시기 전인 9월 중순, 서울 성북구 고려대 안암캠퍼스 내에 있는 하나과학관. 이 곳에서는 뇌과학 동아리 ‘뉴런(NEW LEARN)’의 정기 세션이 박지윤 씨(심리학과 3학년)의 사회로 진행 중이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시판 일회용 생리대 10종 재료 분석 일회용 생리대의 인체 유해성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거세다. 발단은 여성환경연대가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팀에 의뢰한 생리대 성분 분석 결과를 공개하면서였다. 논란이 커지자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여성환경연대가 시험에 사용한 생리대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실수의 한 구간, 예컨대 0 이상 1 미만인 실수는 무한히 많다. 문제는 실수를 셀 수 있느냐인데, 아무도 실수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지 못했다. 자연수의 집합은 ‘1부터 시작해서 1씩 커지는 수로 이뤄져 있다’고 정의하지만, 0 바로 다음에 오는 실수가 무엇인지는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실수의 ... ...
-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학동아의 여덟 번째 생일 파티 초대장을 받고 파티가 열리는 곳으로 가는 중이야. 장소는 무한호텔! 1924년에 생긴 가상 공간, 무한호텔에서 파티를 한다니 왠지 무서울 것 같았는데, 다녀온 사람들은 모두 그곳에 다시 가고 싶어 해. 무한호텔은 어떤 곳일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무한호텔의 지배인, 다비드 힐베르트는 모든 방이 꽉 찬 호텔에서 아무도 내쫓지 않고 손님 한 명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모든 손님이 각자 자신이 묵고 있는 방의 번호에 1을 더한 번호의 방으로 옮긴다. 1번 방에 묵는 손님은 2번 방으로, 2번 방에 묵는 손님은 3번 방으로 옮긴 ...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원소가 무한히 많은 집합에는 크기가 유한한 집합에 없는 독특한 성질이 있다. 예를 들어, 실수 전체 집합의 크기와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 집합의 크기가 같다. 모든 실수를 0과 1사이에 있는 실수와 각각 하나씩 짝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수를 실수와 짝지을 때는 실수를 셀 수 없어도 괜 ...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나’와 ‘나의 부분’이 같다?기독교 문화 속에 살았던 중세 유럽 사람은 시간을 초월해서 무한한 창조력을 가진 신을 믿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무한의 정체에 관해서도 끊임없이 논의했다. 대부분은 무한이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라는 데 동의했다. 이렇게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로만 보 ... ...
- 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인류는 마침내 무한을 수학적으로 정의했고, 유한집합의 성질이 무한집합에서는 통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무한이 무엇인지 확실히 모르면서 무한급수와 미적분을 연구했던 수학자들과 달리 지금은 고등학교부터 무한을 배운다. 하지만 무한은 아직 미지의 세계다. 지금도 인류의 상 ... ...
- Part 3. 슈퍼카에서 하이퍼카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슈퍼카 나올까SF영화에서나 보던 자율주행자동차의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전광민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는 “2020년이면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되기 시작해 2030년이면 완전히 상용화될 것”이라고 말한다.슈퍼카도 이 흐름에 발 맞추고 있다. 2015년 3월 독일의 자동차 제조업체 아우디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