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다른 소수 판별법을 적용할 수 있다. 놀랍게도 페르마의 소정리는 수학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도 아주 중요하다. 인터넷과 신용카드 등에 쓰이는 ‘RSA 암호’에 그 원리가 녹아들어 있기 때문이다. 암호에 관해서는 Chapter 5에서 자세히 알아본다 ... ...
[신의 책] 선택의 순간을 설명하는 몬티 홀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우리
가 살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때 찍어서 선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이런 선택의 순간에 관한 ‘몬티 홀 문제’가 있어요. 1963년부터 40년간 방영된 미국 오락 프로그램인 ‘Let’s make a deal(거래를 합시다)’에 나온 문제로, 당시 진행자인 몬티 홀의 이름을 따서 붙였어요. 언뜻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생성 AI가 모든 일을, 인간만큼 잘 하게 되자 폭발적인 속도로 상용화되기 시작한 것처럼.
우리
에게 친숙한 로봇 상용화 사례를 떠올려보자. 음식점의 서빙 로봇은 서빙만 한다. 바리스타 로봇은 커피만 만든다. 공장 조립 라인에 있는 산업용 로봇은 조립만 잘한다. 서빙 로봇을 공장에 보내 제품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첫 발자국을 딛는 것은 의미가 있다는 뜻입니다. “지금까지
우리
는 인간의 언어를 바탕으로 동물을 이해하려 해왔죠. AI가 인간 인식의 한계나 편견을 좀 더 줄여줘, 동물 언어의 더 많은 의미를 찾아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카슨의 말 때문이 아니라 비용 부담 문제로 DDT를 포기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자면,
우리
에게 필요한 것은 환경보호를 위해 인간의 생명을 희생시켰다는 카슨에 대한 잘못된 비난이 아니다. 그보다는 DDT가 환경과 인체에 위해를 가한다는 과학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왜 일부 과학자들이나 ... ...
[광고] 콩나물쌤과 함께하는 문해력 속담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등 터진다’는
우리
속담을 태국에선 ‘코끼리 싸움에서 개미들이 짓밟힌다’고 해요.
우리
나라뿐 아니라 다른 나라의 속담을 배우며 숨은 재미를 찾아볼 수 있답니다. Q. 속담과 관련해 기억 남는 일화가 있나요? 학교에서 아이들과 수업 시간에 속담에 대한 얘기를 나눈 적이 있었어요. 하루는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소수를 수학자들이 언제부터 연구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인류의 소수 사랑은 1950년 아프리카 콩고에서 발견된 동물의 뼛조각에서 살짝 ... 설명했다. 에우클레이데스로 인해 소수가 무한하다는 것을 21세기를 사는
우리
도 의심하지 않을 수 있게 증명해냈다. 증명의 힘이 이래서 강하다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증명이 너무 어려워 여전히 풀리지 않았다. 이 추측을 증명하기 어려운 이유는
우리
가 소수가 언제 등장하는지 아직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해서다. 전 세계의 수학자는 포기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골드바흐의 추측을 공략하고 있다. 1937년 러시아 수학자 이반 비노그라도프는 ‘아주 큰’ ... ...
편견을 넘는 수학자 이탕 장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정교수로 바로 승진했고,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초청 강연했다. 수많은 학교에서 ‘
우리
학교로 와달라’라는 요청이 쇄도했고, 201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로 자리를 옮겼다. 장 교수는 여전히 소수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리만 가설을 풀었다’라는 소문이 퍼지게 했던 그의 ... ...
타디그레이트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그런 말을 하는 것일까.“난 어렸을 때 큰 병을 앓아서 몸의 대부분이 기계로 대체됐어.
우리
가족이 기계의 외형을 선호하지 않아 일상생활에서는 최대한 기계처럼 보이지 않도록 마감을 해둔 거야. 어쨌든 내 장기, 뼈, 근육 등은 대부분 인공적으로 만들어졌어. 당시에도 큰 수술이라고 했었어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