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술
기입
d라이브러리
"
작성
"(으)로 총 1,67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지구를 잠시 떠나 보세요! 우주에서 지구 감상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4호
홈페이지 ‘종알종알 댓글터’에 여러분이 타고 싶은 미래 비행체를 상상해 댓글로
작성
해 주세요! 8월 1일까지 달린 댓글 중 3명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코딩 기초 코드
작성
기 사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3호
컴퓨터에서
작성
한 코드를 실행하고 싶은 경우 저장된 코드를 가져오면 돼요. ➊ 코드
작성
기의 왼쪽 위에 [처음 화면] 버튼을 눌러 처음 화면으로 이동한 뒤, 오른쪽 [가져오기] 버튼을 누르세요. ➋ ‘파일 가져오기’를 누르면 파일로 저장된 코드를 가져올 수 있고 ‘URL주소 가져오기’를 누르면 ... ...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2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얻었어요. ‘커맨드블록’은 명령을 실행해주는 블록으로, 반복 커맨드블록은
작성
된 명령을 반복해서 실행해요. ➋ 커맨드블록이 보이지 않도록 바닥면 아래에 설치했어요. 이때 앞서 설치한 NPC와는 10칸 이상 거리를 띄어 주는 것이 좋아요. 이어서 커맨드블록을 바라보고 마우스 오른쪽 ... ...
[과학뉴스] 과학동아 결산, 2021년 과학기술 이슈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발표됐다. 전 세계 66개국 과학자 234명이 그간 나온 기후 관련 논문 1만 4000편을 토대로
작성
한 보고서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보여주며 범지구적 대응을 촉구했다. 이에 세계 각국은 기후위기 주범인 화석연료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중 2명이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방법을 제안했다.❶ 단수형으로 논문 전체를 수정할 것❷ 공동저자를 찾을 것타자기로
작성
한 논문을 수정하려면 전체적으로 다시 작업해야 했다. 그때 문득 본인이 키우는 고양이 ‘체스터’가 떠올랐다. 그는 논문 전체를 수정하는 대신 고양이의 이름 체스터 앞에 고양이 학명(Felis domesticus)의 ... ...
[이공계잡터뷰] 과학의 즐거움을 전하는 크리에이터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부여한다. 크리에이터로서 자신만의 색깔을 보여줄 수 있는 과정이다.이후에는 대본을
작성
하고 검토한다. 과학 크리에이터가 콘텐츠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과학적 사실과 객관적 데이터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대본이 완성되면 동료 과학 크리에이터들과 대본을 두고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8월 19일 여름방학 특별 온라인 클래스, ‘로블록스 무작정 따라하기’가 열렸습니다. 로블록스 온라인 클래스를 향한 관심은 뜨거웠어요. 많은t 친구가 줌(Zoom) 강연 ... 용어정리*루아 프로그래밍 언어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언어. 한 줄씩 코드를
작성
하는 스크립트 방식이다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 어린이의 권리를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디지털을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어과동에선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어요. 이번 10화에선 디지털 세계 속에서 어 ... 나는 어떤 권리를 보장받아야 할지 디지털 세계의 어린이 권리에 대해 기자단-기사를
작성
해 주세요 ... ...
[수학동아가 간다!] 서울 가재울중 와이즈 수학탐구반, 수학 교양서 완성기!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많았습니다. 수학동아를 보며 다양한 수학 개념을 어떻게 풀어나가는지 참고해 글을
작성
하려고 노력했어요. Q 이번 활동으로 느낀 점은 무엇인가요? ‘예측 가능한 코로나’란 주제의 글은 친구인 김나은 양과 함께 썼어요. 두 명이 하나의 글을 쓰려다 보니 의견을 맞추기 힘들었죠. 온라인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2019) 중 ‘글자체가 생명을 구하고 운명을 가를 수 있을까’(p.208-215)를 주로 참고해
작성
되었습니다. 지금 당신이 보는 이 글은 돋움체로 쓰였다. 묵직하면서 굽은 곳이 없고 꾸밈이 거의 없는 깔끔한 글꼴이다. 흥미로운 정보를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전달하려는 과학동아의 의도가 담겼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