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빛으로 신호를 보내는 반딧불이 로봇 작년 6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연구팀은 반딧불이를 본따 초소형 로봇을 만들었어요. 이 곤충 로봇은 작은 인공 근육으로 날개를 움직여 비행합니다. 인공 근육 속에는 빛을 내는 미세한 입자가 있어서 날갯짓을 할 때마다 ... ...
-
- [특집] 금속이 슬라임처럼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특성 때문에 폴더블폰(접을 수 있는 핸드폰) 등 전기가 통하면서도 모양을 바꿀 수 있는 전자회로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액체 금속은 표면장력●이 높아 물방울처럼 응집해 있습니다. 이렇게 모여 있으면 흩어지는 것이 쉽지 않아 액체 금속을 다른 물질에 코팅시키는 것이 어렵지요. 2022년 8월 ...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컴퓨터로 조절해 음의 높고 낮음을 표현하고, 정확한 시간에 맞춰 작동하도록 했지요. 전자기기들을 어떻게 꾸몄는지도 꼭 살펴보세요. 방패를 들고 있는 캡틴 칫솔의 목소리가 들리나요? 유리에 균열이 가는 속도는? 조회 수 : 159만 회채널명 : The Slow Mo Guys (구독자 수 : 1470만 명)‘쨍그랑!’ ...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인간 간의 문제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고 짚었다. 이수영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는 “AI의 능력이 발전하면 인간의 능력은 AI의 능력까지도 포함해 성장하는 것”이라며 “AI는 위험하다. 그렇지만 사람만큼만 위험하다. 사람에게서 배우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증강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겁니다. 조직공학 기술로 제작한 인공조직이 나노 바이오 전자소자, 바이오 센서, 바이오 칩과 같은 인접 분야의 기술과 결합해 더욱 진화할 날이 곧 올 겁니다. 조직공학의 개념이 학술지에 소개된 지 30년이 지났습니다. 정교한 생명을 다루는 낯선 분야의 성공 여부를 ...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출력(text to image)되는 DALL-E 프로젝트로 멀티모달 AI를 연구하고 있다. 임준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언어지능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언젠가 멀티모달 방식의 거대 AI모델이 나오면 DALL-E에서 시도하지 못하는 형태의 일도 가능해질 수 있다”며 한 개의 그림을 보고 인간과 AI가 그림에 대한 평가를 ... ...
-
- [논문탐독] 휜 숟가락 펴기 힘든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사실을 발견하고, 이런 결함을 ‘전위(dislocation)’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실제로 전자현미경으로 얇은 구리 박막을 관찰하면 실 같은 선형의 결함들이 아주 많습니다. 보통 우리가 쓰는 구리 1m3안에 있는 전위의 길이를 모두 더하면 1광년(9.46×1012km)의 거리보다 깁니다. 원자보다 전위에 주목하는 ... ...
-
- [이달의 책] 재료가 바꾼 인간의 감정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놀라운 능력 덕분에 절반의 뇌로도 모든 기능을 처리한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전자장치의 반을 자르면 작동하지 않겠지만, 인간의 뇌는 절반의 뇌가 회로를 재편해서 부족한 기능을 스스로 보충할 수 있다. 이처럼 이 책은 ‘발전하고 변화하는 뇌’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마디로 이 책은 ...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지난해 11월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강지형 교수팀은 갈륨을 이용해 늘어나는 전자회로를 공개했지요. 갈륨은 녹는점이 낮지만, 끓는점은 2204℃로 높아요. 2204℃가 넘어야 액체에서 기체로 변할 수 있지요. 즉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온도의 영역이 넓다는 의미예요. 이러한 특성 때문에 ...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개발하다 보면, 언젠가 뇌를 똑같이, 혹은 더 개선해 만들 수 있을까. 이수영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는 “사람이 날기 위해 새가 나는 모습을 공기역학적으로 분석한 것은 맞다”며 “그러나 그 기능을 모두 구현하진 않았다”고 답했다. 우리는 뇌의 기능 중에서 핵심을 추려 AI에 구현했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