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창조"(으)로 총 1,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저는 저를 만든 공과대학의 한진영 교수님과 저녁 식사를 함께 하고 싶습니다.”“창조주구나. 멋지네요.”윤정의 채점표는 기괴한 모양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어느 부분에서는 바닥을 찍고 어느 부분에서는 높은점수를 찍어서 도표를 만든다면 일그러진 불가사리 같은 모양이었다. 한 시간 반이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필요하다. 무조건적인 제한이나 금지보다, 가능한 파괴적 결과를 예민하게 고민하면서 창조적인 방식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Interview]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다른 화음을 만들었다. 두 달에 걸친 연구 끝에 논문이 나왔다. 이 논문은 올해 3월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한 ‘제5회 에디슨 SW활용 경진대회’에서 고등부 최우수상을 받았다.김재현 학생은 “학교 음악실에 내부를 볼 수 있는 그랜드피아노가 있는데, 망치가 줄을 때려 소리가 나는 원리가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여키스-도슨 법칙은 단순한 반복 작업에서 주로 통용될 뿐, 협력이 필요한 공동작업이나 창조성이 필요한 업무에는 잘 들어맞지 않는다. 남보다 앞서려고 노력하는 것과 잘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다. 뉴욕의 뒷골목에서 시작한 힙합은 누구나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문화였지만,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생각대로 움직이고 느끼는 인공 팔(바이오닉 암)’ 개발에 시동을 걸었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생체모사형 메카트로닉스 융합기술개발 사업’으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총 6년간 365억 원이 투입될 대형 연구 프로젝트다. 총괄 책임연구자이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장으로 바쁜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여기서 새로운 원소가 만들어질 수도 있고, 핵 내부의 구조를 볼 기회도 생긴다.미래창조과학부 주도로 구축 중인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은 ‘온라인동위원소분리장치(ISOL)’와 ‘비행파쇄동위원소분리장치(IF)’를 동시에 이용해 희귀한 원자핵을 만들어 충돌시킬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생명체’다. 벤터 박사가 2008년 테드 강연에서 “디지털 세계에서 새로운 생명을 창조해낼 수 있다”고 공언한 지 만 8년 만에 성공한 것이다. 인간의 디자인으로 만들어진 첫 생명체, JCVI-Syn3.0(이하 Syn3.0)은 어떻게 탄생한 것일까.유전자를 전자회로처럼 설계한다Syn3.0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탄생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주목 받는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가 원하는 그 어떤 생명체도 창조할 수 있는 시대를 열어줄 열쇠기 때문이다. 합성생물학은 이론적으로 인간이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서 막대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식량부족, 의약품 부족, 환경오염, 에너지 고갈 등 인류가 직면한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해줄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사후경과시간과 관련해 무의미한 논쟁이 사라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고 있는 그들의 의지와 노력에 큰 박수를 보낸다.메기에시 박사의 점수체계메기에시 박사는 시체 각 부위의 부패 정도를 기준으로 점수체계를 세웠다. 머리는 1~13점, 몸통은 1~12점, 사지는 1~10점으로 ... ...
- [재미] 제15회 전국학생 과학 논술대회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상자에게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과 상금 50만 원, 초등부 대상 수상자에게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과 상금 30만 원이 수여된다. 전국 최대 규모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학생 과학 논술대회에 참가해 글쓰기 실력을 뽐내보자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