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들이
외출
출타
접근
면접
d라이브러리
"
출입
"(으)로 총 447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마음에 들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도교수의 허락을 받아 3학년부터 지도교수 연구실을
출입
하면서 꿈을 키워갔다. “돌이켜 보면 전공을 선택하는 게 쉽지는 않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다양한 전공분야를 듣고 저한테 딱 맞다고 생각한 것을 선택한 것입니다.” 최 교수가 있는 서울대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까닭은 열차가 ‘폐쇄생태계’이기 때문이다. 폐쇄생태계는 외부에서 물질과 에너지의
출입
이 자유롭지 않다. 쉽게 말해 자급자족을 해야 한다. 그리고 공간의 제약때문에 적정 개체수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등 도움이 안 될 것 같은 꼬리칸 사람들을 열차에 태우고 달리는 이유도 결국 ... ...
보현산별빛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떠올리지만, 보현산천문대는 연구시설이기 때문에 평소에는 우주를 연구하는 연구원만
출입
할 수 있어요. 4~6월과 9~10월 네 번째 토요일에는 망원경을 견학할 수 있지만, 이때도 야간 관측은 못 해요. 그런데 1년에 딱 한 번, ‘영천보현산별빛축제’ 기간에는 천문대의 망원경으로 멋진 천체를 볼 수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5개월간 계곡을 폐쇄한 적도 있었다. 앤텔로프 캐니언은 인원이 한정된 가이드 투어로만
출입
할 수 있기 때문에 수개월전에 예약하지 않으면 들어갈 수 없다.앤텔로프 캐니언은 다른 거대한 계곡과는 달리 매우 협소하고 짧다. 상부 계곡과 하부 계곡으로 나뉘어 있으나, 서로 연결돼 있지는 않다.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2차 면역반응을 주도하는 항체에 달라붙어 항체를 세포로 들어가기 위한 ‘
출입
증’으로 이용한다. 바이러스를 잡기 위해 만든 항체가 되레 바이러스가 쉽게 세포를 침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꼴이 되고 마는 것이다.숙주의 몸에서 되도록 오래 머무르며 증식하는 것을 선호하는 바이러스는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왕조가 오래 이어지면서 왕족의 능침이 경기도 부근에 많아졌고, 이 지역이 봉금 지대(
출입
이나 접촉을 금지한 지대)로 지정돼 주변이 원시림이 됐다. 그 결과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에서 호랑이를 만날 확률이 높아졌던 것뿐이다. 실제로 호환(호랑이를 만나 입은 피해)이 가장 많이 발생한 17세기 ... ...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미국 롱아일랜드의 군무선 송신소를 거닐고 있었다. 그런데 이야기 삼매경에 빠져
출입
금지 표지판을 보지 못하고 송신소 깊숙이 들어와 버리고 만다. 결국 경찰에 연행된 에르되시는 조사 결과 해를 끼치기 위해 침입한 것은 아니라고 판명됐지만, 이후 FBI의 요주 인물로 등록된다.이보다 앞서 ... ...
[환상 퍼즐여행2] 수학 기면증에 빠진 세계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나가려면 반드시
출입
증 화면에 있는 문제를 풀어야 하네. 그럼 부탁하네.”폴이
출입
증 화면을 켜자 문제가 보였다.“엥? 스도쿠잖아? 그런데 복도 끝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지 않아?”“좀비들이야! 따라잡히기 전에 문제를 풀자!”미션3. 신약을 완성하라!아슬아슬하게 좀비들의 손에서 벗어나 ... ...
후쿠시마에 남겨진 동물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영문도 모른 채 서로 몸을 기댄 채 죽어갔다.게다가 일본 정부는 원전으로부터 20km라는
출입
제한구역을 설정하고, 이 안의 가축을 모두 살처분했다.사람의 안전이 더 중한 건 사실이지만, 동물의 잘못도 아닐진대 어째서 이렇게 비참하게 죽어야 하는 걸까.야스스케 씨는 “미안하다고 계속 용서를 ... ...
[3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탈질 미생물의 영양 유기물로 만드는 데 있다. 열수분해는 세균의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
출입
구를 녹여 세균을 박멸하는 가장 위생적인 처리법으로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도 모두 분해해 보건 환경측면에서도 우수하다. 가장 좋은 음식물쓰레기 처리법은 처음부터 음식물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