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루"(으)로 총 4,0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늘 나의 칼로리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예요. 심장을 뛰게 하고, 숨을 쉬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등 하루동안 반드시 쓰이는 열량이지요. 기초대사량은 키, 몸무게, 나이, 성별에 따라 달라요. 보통 9~11세 어린이의 기초대사량은 1180~1290kcal이지요 ... ...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구아닌 결정에 둘러싸여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유리개구리가 어떻게 하루 중 무려 10시간 동안이나 숨을 쉬지 않고 극도의 저산소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냐는 점이다. 준지 야오 교수는 “아직 정확하진 않지만, 기관이나 조직에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발사장이다. 성층권 고기압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며 풍선을 남극 상공에 맴돌게 하고, 하루 햇빛량이 일정해 풍선에 가해지는 압력차가 적다. 우주망원경 100분의 1 비용으로 우주 본다 밤하늘 너머 깜깜한 공간을 향한 인류의 오랜 호기심은 망원경의 역사에 드러난다. 1610년 천문학자 ... ...
- 60년 묵은 생체시계 난제 해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웃음). 그런데 이 주제가 너무 재밌어서 연구를 계속하고 싶었어요. 생체리듬은 하루 24시간을 주기로 일어나는 우리 몸속의 과정을 의미해요. 이는 우리 몸속에 생체시계가 있어서 가능한데요. 이 연구에는 시간, 주기 같은 개념이 중요하니까 수학이 이 주제에서 큰 역할을 하겠다 싶었어요. 저희 ... ...
- 수학자와 수학 교사 부부는 자녀에게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학원에 보낸 적 있나요? 엄마 첫째는 초등학교 6학년 때까지 수학 학원에 안 보냈어요. 하루에 얼마나 문제집을 풀었는지만 확인했어요. 교육 단계에 맞춰 수학을 차근차근 배웠으면 했어요.아빠 선행학습엔 장단점이 있어요. 당연히 미리 배우면 점수를 잘 받겠죠. 근데 수학이 재미없어질 가능성도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따라 총 일곱 군데 지역(백령도, 덕적도, 흑산도, 제주도, 창원, 포항, 북강릉)에서 하루 4번, 6시간 간격으로 풍선을 날려 보낸다. 오전 9시, 오후 3시, 오후 9시 그리고 새벽 3시에 발사장 돔 뚜껑이 열린다. 1년 동안 총 1460개의 풍선이 대기 정보 수집이란 임무를 안고 떠오른다. 풍선이 곧 과학기구인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애니메이션화 시키거나, 영상을 웹툰화 시키는 용도에도 활용될 수 있나요? 김 하루가 다르게 신기술이 쏟아져 나오기 있기 때문에 AI 기술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매력적인 분야입니다. 최근 이미지 생성 AI가 국내외에서 대유행하고 있는데요. 모델로 움직이는 영상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다행히 70% 이상이 산지인 우리나라는 완전히 물에 잠긴 된 곳은 없었으나, 여름이면 하루 수백 밀리미터 이상 내리는 장마가 한 달 넘게 지속되어 인천과 부산, 남해안 등 침수가 빈번한 해안가에는 더 이상 사람이 살지 않는다. 온종일 나갈 수 없으니 심심해 홀로그램 TV를 켠다. 그곳에선 AI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❸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실험방법 부활을 꿈꾸는 멸종위기동물의 마지막 쉼터 미국 샌디에이고 동물원은 하루 방문객만 만여 명 안팎인 인기 관광지입니다. 그런데 이 동물원의 연구동 1층에 아주 특별한 동물원이 있다는 사실은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곳은 ‘냉동 동물원(Frozen Zoo)’. 치타, 흰코뿔소, ...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뜻한다.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어디서 어떻게 찍힐까. 과학동아 신입 기자 수린의 하루를 따라가며 디지털 탄소발자국의 흔적을 추적했다. 첫 번째 탄소발자국은 데이터 센터에서 2023년 서울 용산 과학동아 사무실 앞. 수린은 첫 출근을 앞두고 심호흡을 크게 한 번 한 후, 사무실로 들어간다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