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농사"(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 판타스틱! 2009 첨단 농업 쇼(1)어린이과학동아 l20091013
- 시간을 계산해, 식물의 생장 과정에 알맞은 파장과 세기, 간격으로 빛을 쪼여 준답니다." 김상철(농업진흥청 생산자동화기계과) 농사짓는 로봇 출동! 그렇다면 일손이 부족할 때는? 걱정 마세요. 로봇 농민이 출동합니다~! 로봇 농민들은 혼자서 모내기와 접붙이기를 하고, 딸기를 수확할 수도 있어요. 로봇이 아니라 기계라고요? 그런 섭섭한 말씀을! 기 ...
- 쏴아아아~ 강이 거꾸로 흐른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소리를 친다. “와~, 사건도 해결됐으니 우리 철새 보러 가요. 겨울 철새들이 강에 몰려와서 장관을 이룬다구요!” “닥터고글, 겨울은 농사일이 적어서 내가 시간이 많아. 그러니 이 곳에서 사람들에게 거꾸로 흐르는 강과 철새 떼를 보여 주며 관광 사업을 해 보는 건 어떻겠소? 내가 지은 햅쌀 밥은 실컷 먹여 주리다!” “아하하…, 저…, 저는 겨 ...
- 아기돼지 삼형제의 첨단빌딩 프로젝트(1)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농작물을 기를 수 있는 지하농장이 있어. 지하에는 햇빛이 들지 않아 식물이 자랄 수 없을 것 같지만 인공 광원을 이용해 1년 내내 농사를 짓고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단다. 계절에 상관없이 어느 때라도 모내기와 추수가 가능해 식량 문제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촌을 잘 모르는 학생들에게 좋은 체험 장소가 되고 있지. 그런데 첨단 ...
- 바닷물로 농사를 짓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지을 수 있다고 믿는 것일까? [소제시작]사건 분석 1 바닷물로는 식물을 키울 수 없다?[소제끝] “므울 달라 씨라고 하셨죠? 바닷물로 농사를 짓는다는 것은 말이 안 돼요. 바닷물은 염분 농도가 3.5%예요. 생물의 몸 안에 있는 물보다 훨씬 진하기 때문에 식물이 시들어 버린답니다.” 이장님이 연신 고개를 끄덕거린다. “아암, 그렇지. 그렇지.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2)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있어요. 하지만 이건 사실이 아니랍니다. 인간은 매머드를 가축으로 이용하지 않았어요. 10000BC 경 사람들은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농사를 짓기 시작하고 동물들을 직접 기르기 시작했어요. 개도 이 시기에 가축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죠. 하지만 매머드는 큰 몸집 때문에 사람이 기르기에는 부적합했답니다 ... ...
- 가마우지의 여행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2)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물고기는 다시 새나 양서류 등의 먹이가 돼. 작은 포유동물도 물과 먹이를 얻기 위해 습지를 찾아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는 거야. 농사를 짓는 사람들에게는 저수지의 역할도 해 주지. 습지의 역할은 그것뿐만이 아니야. 습지에 사는 미생물은 흘러 들어오는 오염된 물을 정화하고, 공기 중으로 증발된 물은 그 지역의 온도나 습도를 조절하기도 하지. 태안에 ...
- 가마우지의 여행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1)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방조제를 쌓으면서 생긴 호수야. 그 때 넓은 간척지와 두 개의 호수가 만들어졌는데, 그 중 태안에 있는 호수가 부남호야. 간척지에는 농사를 짓고 난 후 땅에 떨어진 낱알이 많고 호수에는 물고기가 풍부해서 철새들이 머물기에 아주 좋은 곳이 됐어. 갯벌이 없어져서 갯벌 생물들에게는 미안하지만 우리 새들에게는 좋은 환경이 된 거야. 그래서 매년 약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먹나요? 한 해를 시작하는 명절인 설날에는 가래떡처럼 길게 오래 살라는 의미로 가래떡을 먹어요. 추석에는 한 해 동안 열심히 농사를 지어 거둬들인 햅쌀과 햇곡식을 이용해 송편을 빚어 먹는답니다. 넷, 설탕이 없던 옛날엔 어떻게 꿀떡을 만들었나요? 설탕이 없던 과거에도 단맛을 내는 조청이라는 것이 있었어요. 조청은 엿기름을 이용해 쌀의 녹말을 당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죠. [소제시작]두 번째 방_시간을 표현하라![소제끝] 이 방의 일꾼들은 시간을 표현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농사를 짓게 되고 사회가 발전하면서 일 년, 한 달, 하루를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죠. 눈에 보이지 않는 시간을 표현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을 쓰고 있는지 같이 살펴봅시다. 아침에서 한낮으로 ...
- 화장실 익스프레스(1)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그 채소를 많이 먹었다는 걸 알 수 있었죠.” 저기 구멍 난 판자는 뭐지? “몇몇이 모여 살거나 떠돌아다니며 살던 서양의 고대인들은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부터 한 곳에 모여 살기 시작했어요. 그러자 구덩이를 팔 공간이 부족해졌어요. 결국 똥과 오줌을 땅에 묻지 않고 물로 씻어 내는 공동 화장실을 만들게 됐죠.” “자세히 보면 돌로 된 변기 뚜껑 ...
이전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