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먼길"(으)로 총 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합성생물학의 핵심 목표는 새로운 생명 형태와 기능을 창조하는 것이다. - 스테판 르뒥 - 2012년부터 지금까지 활약 중인 화성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 - NASA 제공 화성, 유로파, 타이탄.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과 위성이다. 한편 지금까지 관측된 외계행성 수천 개 가 ... ...
- (기고) 기초연구는 강화하라며 예산은 삭감?2017.12.02
- ※편집자주 : 기초과학에 더 큰 관심과 지원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그 목소리가 힘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회의 예산심의에서 기초연구비 삭감이 결정된 데에 대해,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는 호원경 서울대 의대 교수가 기고문을 보내왔습 ... ...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한국천문연구원이 운영하는 남아공 ‘KMTNet’ 망원경이 촬영한 중성자별의 모습(흰색 선).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국제 공동연구진이 두 개의 중성자별 충돌로 발생한 중력파를 처음으로 검출했다. 충돌로 발생한 감마선 등도 동시에 관측함으로써 충돌 위치도 사상 처음으로 확인했다. 한국 ... ...
- 5학년도 이해할 수 있는 중력파...쉽게 풀어낸 중력파 Q&A동아사이언스 l2017.10.17
- [우주 기원 밝히는 신호 찾았다! 중성자별 충돌로 발생한 중력파 첫 발견]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 ☞ [연구의 의미] 우주 보는 ‘중력의 눈’ 위력 확인해... 중성자별 세밀하게 밝힌 것도 의의 ☞ [참여 연구자가 말한다] “멀리 떨어진 중성자별 관측 가능해져 ... ...
- [2017 노벨 물리학상]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을 이끈 과학자들2017.10.04
- ※편집자주 동아사이언스는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2~4일, 노벨위원회가 수상자 발표와 동시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보도자료 전문을 번역해 공개합니다. 노벨 위원회는 이 보도자료를 통해 수상자 선정 배경과 의미를 자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 ... ...
- [카드뉴스] 배고플 때 먹는 밥이 더 맛있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7.09.19
- 맛있는 음식은 우리를 행복하게 합니다. 맛을 위해서라면 먼 길을 마다않기도 하지요. 이렇게 맛을 좇는 우리들은 미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단맛은 포도당 등 각종 당분자가 단맛 수용체에 닿았을 때 느껴집니다.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당분자가 수용체에 끼워지면 수용체의 구조가 바 ... ...
- 애플파크, 그리고 스티브 잡스2017.09.14
- 9월 12일 애플의 가을 이벤트가 열렸습니다. 늘 그렇듯 아이폰을 중심으로 한 신제품이 발표되는 자리입니다. 키노트가 시작되자 극장은 불이 꺼졌고, 참석자들에게도 잠깐 랩톱을 꺼달라고 요청하는 방송이 흘러 나옵니다. 그리고 컴컴한 극장 안은 스티브 잡스가 생전에 했던 이야기가 덤덤하게 ... ...
- [때와 곳 21] 오래된 사찰: 신앙 없이도 눈속말을 하는 곳2017.09.09
- 화엄사 각황전 - 윤병무 제공 어쩌다 낯선 지방에 갈 일이 생기면 나는 출발하기 전에 먼저 그 일대의 오래된 사찰을 검색해본다. 기왕이면 유적지(遺跡地)도 둘러볼 요량으로 말이다. 오래된 사찰 말고도 국내 유적지는 고분, 성터, 고인돌, 역사 인물의 생가 등도 있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유적지는 ... ...
- 한국전쟁 실종자 신원 확인, 새로운 DNA 분석 기술로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09.06
- 국제이주기구(IOM)는 "올해 들어 지중해를 통해 유럽에 들어온 난민·이주민이 12만 명에 달하고, 이 중 2400명이 물에 빠져 숨졌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현재도 끊임없이 실종자가 발생하고 있다. -google 이미지 제공 토마스 퍼슨 국제실종자위원회 과학기술디텍터는 “끊임없이 발생하는 실종자를 찾 ... ...
- [ESC의 목소리 (17)] 노벨 물리학상을 통해 본 일본 과학 발전의 역사성2017.08.20
- 김찬현 (ESC 사무국장) 김명호 작가 제공 먼저 제 소개를 간단하게 할게요. 저는 일본의 학부와 대학원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후, 한국에 돌아와서 엔지니어 생활을 얼마간 했습니다. 이후에는 과학기술 관련 통번역사로 활동하기도 했고요. 아무튼 부끄럽게 느껴지는 석사학위지만, 연구 주제는 참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