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983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가 분석한 '다누리' 영상...달 착륙지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불과 26km 떨어진 영구음영지대에 위치한 '마빈 크레이터'의 가장자리도 확인했다.
바깥
쪽과 안쪽에 내리쬐는 태양 빛의 차이가 생생하게 담겼다. 달에 반사된 햇빛을 활용하지 않고 지구의 반사광을 활용해 촬영한 사진도 있다. 달의 평지 지역에 있는 '아리스타르쿠스 크레이터'의 봉우리를 ... ...
[잠깐과학] 티라노사우루스의 이빨은 입술에 가려져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5.06
비교했어요. 그 결과 티라노사우루스의 턱뼈는 입술이 없고 이빨이 비스듬하게
바깥
으로 자라는 악어보다, 이빨이 수직으로 자라 입술로 덮이는 도마뱀과 더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또한 연구팀은 티라노사우루스 화석의 이빨이 악어의 이빨에 비해 표면이 덜 닳았다고 분석했어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안좋은 일 곱씹기보다 주위에 감사하기
2023.04.22
때 이렇게 기분 나쁜 곱씹기에 빠져드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자신의 내적 상태로부터
바깥
으로 눈을 돌려 정신을 환기하는 주의 돌리기(distraction) 전략을 쓰는 경우도 있고, 자신이 가진 유무형의 자산들에 집중하는 감사하기 전략을 쓰는 사람들도 있다. 최근 캘리포니아 주립대의 심리학자 ... ...
초미세먼지 속 중금속 독성, 멜라토닌으로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세포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 카드뮴이 침투해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세포 안쪽과
바깥
쪽 전위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세포 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최근 미토콘드리아 항상성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STAT3’ 단백질이 카드뮴 노출에 따라 기능이 손상되는 ... ...
위협적인 티라노사우루스 이빨, 입술에 가려 안보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모습은 이빨이 수직으로 자라면서 입술에 덮이는 도마뱀과 가깝다고 설명했다. 이빨이
바깥
쪽으로 비스듬하게 자라는 악어 턱뼈의 모양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티라노사우루스의 입술은 인간의 입술처럼 근육으로 이뤄지진 않았을 것이라 추정됐다. 연구팀은 “비늘로 뒤덮인 피부와 같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결과 아세트산이나 프로피온산 같은 냄새분자(odorant, 노란색 육각형)가 붙으면 세포막
바깥
쪽에서 막관통 나선 6번과 7번을 잇는 영역(ECL3)의 구조가 바뀌며 나선 6번이 틀어져 세포막 안쪽에 있는 G단백질(여기서는 표시되지 않음)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알파폴드2의 예측에 따르면 다른 ... ...
[잠깐과학] 스스로 땅속을 파고드는 씨앗 운반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3.18
환경에서 수축한다는 특징 때문이에요. 비가 오면 나무로 만든 꼬리의 안쪽 세포가
바깥
쪽 세포보다 더 많이 팽창해 감긴 줄기가 풀려요. 반대로 건조해지면 안쪽 세포가 더 빨리 수축하면서 풀렸던 줄기가 다시 감기지요. 연구팀은 화학적 세척을 통해 나무 꼬리가 풀리고 감기는 정도가 크도록 ... ...
미세먼지로 대기 질 나빠질수록 치매 위험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치매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대기오염이 심할 때는 외출을 삼가며
바깥
활동 시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제공 ... ...
[잠깐과학] 지구를 찾아오는 손님, 소행성 vs 혜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3.11
밀려 나가는데, 이것이 혜성의 꼬리를 이루게 됩니다. 혜성의 고향은 태양계 가장
바깥
쪽에서 공 모양으로 둘러싸는 ‘오르트 구름’으로 알려졌어요. 오르트 구름은 얼음 조각과 먼지들로 이뤄져 있는데, 구름 옆을 지나던 천체의 영향을 받아 구름을 벗어나면 태양과 가까워지면서 혜성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뇌섬엽에 광섬유 캐뉼라(관)을 꽂았다. 파란빛 레이저를 쏘면 통로단백질이 열리며 세포
바깥
의 음이온이 안으로 들어오며 억제 신호가 발생한다. 조끼에서 빨간빛이 나와 심박수가 올라가면 불안감이 커져 앞서 실험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그런데 파란빛 레이저를 쏘아 뇌섬엽의 활동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