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균관대"(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29대 과학기자협회장에 유용하 서울신문 기자동아사이언스 l2022.12.22
- 유용하 후보의 당선을 확정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유 당선자는 성균관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매일경제 신문과 동아사이언스를 거쳐 2015년부터 서울신문 기자로 재직 중이다. 과실련(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편집보도위원회 위원장, 세계과학기자연맹총회 한국조직위 ... ...
- 공학한림원 원익상 최우수상에 신희찬 고려대 석사과정생동아사이언스 l2022.12.14
-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석박과정생, 윤영노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박사과정생, 이경형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석박과정생, 이현재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석박과정생 5명이다. 기업가정신 분야에서는 공간 분해능 레이저 활성세포 분리 장비 회사‘메테오바이오텍’공동 창업자인 ... ...
- 이용훈 UNIST 총장 "5년 내 세계 100대 연구중심대학 도약"동아사이언스 l2022.11.23
- 밝혔다. UNIST는 올해 174위를 기록했다. 200위권 안 한국 대학으로 포스텍(163위), 성균관대(170위)가 있다. 이 총장은 “구체적으로 노벨상에 버금가는 탁월한 연구성과와 구글과 같은 글로벌 혁신 기업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내년 초부터 노벨상급 석학과 세계 최고 대학 총장 ... ...
-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에 김소영·안지훈·김재국 교수 등 28명동아사이언스 l2022.11.20
- 우수 핵의학 연구자 민정준 전남대 교수, 퇴행성뇌질환 분야 국내 대표 연구자 조동규 성균관대 교수, 기초한의학 분야 전문가 고성규 경희대 교수 등이 선출됐다. 과기한림원 정회원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20년 이상 활동하며 선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해당 분야 발전에 현저히 공헌한 ... ...
- 강한 빛에 적응하는 눈 모사한 인공안구시스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2.11.14
- 미래 기반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는 조정호 화공생명공학과 교수와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문홍철 서울시립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9일 공개했다고 14일 밝혔다. 눈은 ‘동공 반사’와 ‘순목 반사’를 ... ...
- 뇌 기능 실시간 촬영...30년 된 일본 기술 대체한다동아사이언스 l2022.11.05
- 관찰할 수 있어 뇌 질환 치료법을 찾는 데 큰 도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장연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5밀리초(ms·1000분의 1초) 단위로 뇌의 신경반응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기법 ‘신경 활동 직접 촬영기술(direct imaging of neuroscience)’을 지난달 14일 국제학술지 ... ...
- [과학게시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과학자의 공간에 초대합니다” 外동아사이언스 l2022.10.27
- 전달하는 게 목적이다. 6인의 기초과학자에는 탄소나노튜브의 세계적 권위자인 이영희 성균관대 교수(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 홀로그래픽을 연구하는 의광학자인 박용근 KAIST 교수, 유기인듐을 이용한 짝지음 반응 등으로 세계적 주목을 받은 이필호 강원대 교수, 미세 나노 로봇 제작 등에 ...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제철소 부생가스로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만든다 外동아사이언스 l2022.10.12
- KAIST는 윤동기 화학과 교수와 김선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 공동연구팀이 구종민 성균관대 교수와 강윤찬 고려대 교수팀과의 협업을 통해 전자파 차폐 및 흡수가 가능한 차세대 신소재인 맥신을 세계 최초로 수직으로 세우고 한 방향으로 배향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일반 종이의 ... ...
- [노벨상 2022] "받을 사람이 받았다"...인류건강과 혁신기술 '씨' 뿌린 수상자들동아사이언스 l2022.10.07
- 뽑은 한국인 노벨상 후보로는 2014년 유룡 한국에너지공대 석좌교수, 2017년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 2020년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2021년 고(故) 이호왕 고려대 교수가 있다. ... ...
- [노벨상 2022] 양자컴퓨터·양자통신 시대 연 과학자 3명, 물리학상 영예(종합)2022.10.04
- 발전시켰다. 한편으론 양자컴퓨터의 중요성이 예전보다 부각됐다는 설명이다. 정연욱 성균관대 나노공학과 교수는 "연구 성과 측면에서 보면 2015년 벨 부등식의 위배를 실험적으로 더 정교하게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상의 변화 관점에서 보면 울프상 시상이 이뤄졌던 2010년만 해도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