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객체
바깥
밖
바깥세계
외부
주위
뉴스
"
외계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기원 찾는 최첨단 눈 ‘제임스웹’ 25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3
관측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빅뱅 직후 우주 생성 초기 신호를 포착하고
외계
행성을 찾는 임무도 맡았다. 양유진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책임연구원은 "우리 눈에 보이는 파장의 빛을 관측하는 허블망원경과는 달리 가시광보다 긴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관측하기 때문에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24일 발사…수차례 연기 끝에 다시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9
000억원)가 투입됐다. 약 138억년 전 빅뱅 직후 초기 우주를 관측하고 생명체가 존재하는
외계
행성을 찾는 등 천문학과 우주연구에서 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발사 실황은 발사 1시간 20분 전부터 NASA TV, NASA 앱과 기관 웹사이트, NASA의 소셜미디어 채널 등에서 생방송으로 송출된다 ... ...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발사 준비중 사고로 또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연기됐다. NASA 제공. 약 138억년 전 빅뱅 직후 초기 우주를 관측하고 생명체가 존재하는
외계
행성을 찾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의 발사가 기존 내달 18일에서 같은 달 22일 이후로 연기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2일(현지시간) 블로그를 통해 웹 망원경 발사를 ... ...
우주 기원 찾는 새 추적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다음달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9
관측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빅뱅 직후 우주 생성 초기 신호를 포착하고
외계
행성을 찾는 임무도 맡았다. 양유진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책임연구원은 "우리 눈에 보이는 파장의 빛을 관측하는 허블망원경과는 달리 가시광보다 긴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관측하기 때문에 ... ...
숨겨진 행성 존재 암시하는 전파 발견
과학동아
l
2021.11.07
설명이 현재로서는 가장 합리적”이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이것이 행성으로 밝혀지면
외계
행성을 전파로 찾아낸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과 ‘천문학 저널 레터스’ 10월 11일자에 ... ...
중심별의 죽음에서 살아남은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21.11.05
행성이 발견됐다. 조슈아 블랙맨 호주 태즈메이니아대 자연과학부 연구원팀은
외계
행성 MOA-2010-BLG-477Lb가 백색왜성의 주변을 공전하면서도 여전히 생존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미국 하와이의 켁(Keck) 천문대 망원경으로 포착한 미시중력렌즈 현상(microlensing)과 ... ...
[2021노벨상]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여한 mRNA·NGS 노벨상 받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있다. 2018년에는 생리의학상의 면역항암제 분야 수상을 맞췄고 2019년에는 물리학상의
외계
행성 분야 수상을 예측하기도 했다. ● mRNA 백신 연구자들 생리의학상 받나 노벨 생리의학상 후보로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을 가능케 한 커털린 커리코 독일 바이오엔테크 수석부사장과 드루 ... ...
[2021노벨상]관측기술 발전에 힘입은 우주 분야, 올해도 노벨물리학상 차지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8
정밀 우주론을 만든 제임스 피블스 미국 프린스턴대 명예교수와 정밀 관측 기술 발달로
외계
행성을 처음 발견한 미셸 마요르, 디디에 쿠엘로 스위스 제네바대 교수에게 돌아갔다”며 “이런 추세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매년 노벨상 예측 경연대회를 여는 미국 비영리명예학회 ... ...
'첫
외계
천체' 오무아무아는
외계
지성체가 만든 것일까
연합뉴스
l
2021.09.24
세계를 놀라게 한다. 이 논문은 "우주에서 인류는 외톨이가 아니다"라는 저자의 말처럼
외계
지성체가 만들어 보냈을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복사압이 가속력이라면 오무아무아는 자연적으로 생성됐거나…아니면 인공적으로 기원한 새로운 종류의 얇은 성간 물질임을 의미한다. ... ...
지구에서 단 36광년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 관측
과학동아
l
2021.09.05
빛 파장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외계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도 있다. 멀리 떨어진
외계
행성들이 명확하게 이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COCONUTS-2b는 질량도 목성의 약 6배로 크고, 항성과 매우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6471AU) 110만 년 주기로 매우 빠르게 공전하는 특성상 비교적 쉽게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