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뉴스
"
지층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열발전 '폐쇄만이 답?' 논란 가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경우 셧인 이후 더 큰 미소진동이 발생했다는 사실이 학계에 보고돼 있다. 포항 일대
지층
의 장기적인 안전성 분석과 검토를 위해서도 시추공 셧인은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규모 5.4의 포항지진 이후 지진을 일으킨 단층면에 축적된 응력과 스트레스는 어느 정도 해소됐다는 게 대체적인 ... ...
'지열발전이 포항지진 촉발'…CO₂해저저장연구에도 '불똥'
연합뉴스
l
2019.03.22
뒤 이산화탄소 대량 저장소를 건설할 수 있는 곳으로는 이산화탄소가 들어갈 수 있는
지층
(저류층)과 그 위에 가스가 새어나가지 않게 막아주는 두꺼운
지층
(덮개층)이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는 서해와 동해 해저가 꼽힌다. '포항분지 해상 소규모 CO₂주입실증 프로젝트' 책임자인 권이균 ... ...
한국이 일찌감치 배울 수 있던 유발지진 경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견해가 있다. 송윤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
지층
연구단 박사는 “(끊기거나 부서진
지층
인)파쇄대의 존재까지는 알 수 있어도 그게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활단층인지 여부는 기술적으로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강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은 “외국인 ... ...
포항지진 연구단 향후 처리방안 질의에 "원인만 연구" 선 그어…일문일답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재개하면 같은 사례가 일어날 수 있나. “포항지진이 일어나기 전과 일어난 후
지층
은 완전히 다르다. 포항지진이 일어난 곳은 숨어있던 단층이라고 생각한다. 포항지진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진행중인 지열발전에서 위험을 파악하는 데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논문이나 토론으로 ... ...
포항지진 물 주입이 부른 작은 지진이 쌓여 큰 지진 불렀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발생한 이수(흙탕물) 누출과, 2번 지열정을 통해 높은 압력으로 주입한 물이 주변
지층
에 압력(공극압)을 가했다”며” 이 힘이 포항지진 단층면 상에 남서 방향으로 깊어지는 방향으로 미소지진을 순차적으로 일으켰다”고 밝혔다. 이 미소지진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본진의 진원 위치에 영향을 ... ...
촉발지진으로 결론난 포항지진, 유발지진·자연지진과 차이는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조구조 운동으로 축적된 변형에너지를 방출한다’고 정의했다. 조구조 운동은 암석과
지층
이 구조적으로 변형되거나 파괴되는 운동을 뜻한다. 촉발지진은 ‘인위적인 영향이 최초의 원인이지만 그 영향으로 자극을 받은 공간적 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규모의 지진으로 이때의 지진은 대부분 ... ...
경남 진주에서 피부 자국까지 완벽한 공룡 발자국 화석 세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1억 년 전
지층
에서 주로 발견됐는데, 이번에 1억 1000만 년 전
지층
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번 화석은 가장 완벽한 발자국 화석으로, 발바닥 피부까지 완벽하게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보행렬을 이루는 4개의 발자국 모두 피부가 남아 있으며, 표면에 지름 0.5mm 미만의 아주 ... ...
[Science토크]동남권 해상 단층은 ‘깜깜이’, 중급 지진 나도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지진이 50km보다 육지에서 더 가까운 연안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언제든 존재한다고 본다.
지층
에 쌓인 응력이 해소되는 과정에서 지반의 가장 약한 고리인 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16년 역대 최대 규모 5.8의 경주지진을 유발한 것으로 결론내려진 양산단층이 해저 ... ...
'먹이 찾아 17㎝' 최초의 다세포 생물 21억년 전 첫걸음 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했고, 더 복잡한 생물도 탄생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에 화석이 나온
지층
은 21억 년 전에는 얕은 바다 또는 물가로 대기와 물을 모두 접할 수 있는 곳이다. 얕은 바다는 미생물이 뭉쳐 있어 먹이도 풍부하다. 다만 현재의 다세포 생물이 이번에 발견된 화석 속 생물의 직접적인 ... ...
국내 연구팀, 몽골에서 아기 신종 공룡 ‘고비랍토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화석덩어리에 숨어있었다. 지난해 타계한 뤼준창 중국지질과학원 교수가 7000만 년 전
지층
에서 발견해 수장고에 보관해 둔 것을 2017년부터 이성진 연구원과 이융남 교수팀이 재발굴해 신종 공룡을 발견한 것이다. 이 교수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신종을 발견한 것도 의의지만, 특히 논란에 빠져 있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