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한쪽"(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2019.02.12
- 아닌 동물 가운데 거울 마크 테스트를 통과한 동물이 처음 보고됐다. 바로 큰돌고래다. 한쪽 몸에 점들을 표시하자 돌고래는 거울 앞으로 헤엄쳐가 몸을 비춰 점들을 유심히 관찰했다. 돌고래의 뇌는 1600g으로 1300g인 사람보다도 크므로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뇌가 큰 걸로 따지면 코끼리는 5kg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2018.12.25
- 보면 사람이나 개와 좀 다르다. 혀끝 방향으로 손톱만한 면적에 벨크로(찍찍이)의 한쪽 면처럼 작은 가시 같은 구조가 촘촘히 박혀있기 때문이다. 고양이가 핥으면 까끌까끌한 이유다. A: 고양이는 깨어있는 시간의 24%를 털을 핥으며 보낸다. B: 고양이 혀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가시 같은 유두가 29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2018.11.28
- 결과는 꽤 고무적이다. 생후 20개월인 생쥐(사람으로 치면 60대에 해당)를 둘로 나눠 한쪽에만 격주로 4개월 동안 ‘D+Q’를 투여했다. 이 정도 나이이면 몸속에 노화 세포가 쌓이기 시작했을 것이기 때문에 세놀리틱이 이를 없앤다면 노화를 거스르거나 꽤 늦출 수 있을지 모른다. 4개월이 지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2018.11.07
- 불 때)은 100km가 넘게 여행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낙하산은 천(막)인 반면 갓털은 씨앗 한쪽에서 나온 털 말단에 미세한 털(filament) 100여 개가 뻗쳐있는 구조다. 필라멘트의 길이는 평균 7.4㎜이지만 지름은 평균 16.3㎛(마이크로미터. 1㎛는 1000분의 1㎜)로 머리카락 지름의 5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동아사이언스 l2018.11.03
- 개 신경세포의 종류를 새롭게 밝혀냈다. 신경세포는 머리 역할을 하는 신경세포체와 한쪽으로 뻗어 나온 굵은 축삭돌기, 거기서 파생돼 나뭇가지처럼 돋아난 수많은 수상돌기로 구성된다. 축삭돌기는 굵은 수상돌기이며, 신호전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표면에 신경수초막이 점점이 박혀 ... ...
- 임진강 홍수 위험 대비에 머리 맞대다 과학동아 l2018.04.28
- 위 사진)은 “임진강, 북한강 등 남북 공유하천의 유량을 관리하는 일은 어느 한쪽이 도맡아서 할 수 없다”며 “우리가 보유한 슈퍼컴퓨터로 남북 공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현재 슈퍼컴퓨터급 고성능 컴퓨터를 보유 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K-DMSS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해당 분야 최고의 연구자들이 비슷한 방법에 비슷한 시약을 쓴 실험을 했는데 어떻게 한쪽(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가 주축)은 성인 신경생성이 거의 안 일어나고 다른 쪽(미국 컬럼비아대가 주축)은 어릴 때나 마찬가지로 왕성하게 일어난다는 정반대의 결론이 나올 수 있을까. 지난해 다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한쪽 끝에는 상보적인 서열, 즉 안티코돈(anticodon)이 있어서 코돈을 인식한다. tRNA의 다른 한쪽 끝에는 특정 아미노산이 붙어있다. 결국 코돈이 아미노산 정보를 지니고 있다는 말이다. mRNA의 코돈 순서대로 아미노산을 꿰어 단백질을 만드는 곳이 리보솜이다. 1953년 DNA이중나선이 규명되고 이듬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2017.10.17
- 모집했다. 참가자들은 위약 효과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임의로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한쪽만 3주치 위약을 받았다. 약통에는 ‘위약(placebo pills)’과 ‘하루 두 번 복용’이라는 문구가 잘 보이게 적힌 라벨이 붙어있다. 3주 뒤 참가자들을 불러 평가한 결과 위약을 복용한 그룹은 빈손으로 돌아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평소 허기를 얼마나 자주 느끼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뒤 두 그룹으로 나눠 한쪽은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혈당지수가 낮은 음식들(생선, 콩, 사과, 채소, 닭가슴살, 통밀 등) 위주로 식단을 짜 주고 충실히 실천하라고 알려줬고 다른 그룹은 대기자라고 알려줬다(즉 대조군이다). 실험군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