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이 분야의 미해결 난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많이 기대하고 있습니다. 필즈메
달
수상자인 티머시 가워스는 블로그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앞으로 이 새로운 무기가 또 어디에 쓰일까요? 많은 분들이 이런 수학자의 세계에 참여해 새로운 발견으로 기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의견에 쉽게 휩쓸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본인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분명하게 전
달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매 화마다 숨은 의미가 가득해 재미를 더하는 . 앞으로 어떤 반전이 나올지 기대가 된다 ... ...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정도 단기 기상예보는 수치예보모델을 어떻게 초기화시키느냐에 따라서 정확도가 크게
달
라지는데요. NCAR는 수치예보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다양한 관측 자료를 넣어줌으로써 예보의 정확도를 높인 ‘앙상블 자료동화’라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미세먼지처럼 현재의 모델로는 ... ...
[새 책] “너 내가 그럴 줄 알았다!” “REALLY?”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많이 아팠구나‘인간으로서의 도리’. 최근 몇 년간 대형 사고와 충격적인 사건이 잇
달
아 터지고 그 때문에 새로운 사회적 갈등이 빚어지는 걸 목격하면서, 이 문구를 숱하게 읊조려야 했다. 사랑하는 이를 잃은 아픔을 보듬지 않는다면, 우리는 언제 어디에서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발휘할 수 ... ...
[지식] 들쭉날쭉 요동치는 화폐의 힘겨루기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결국 금융투자자들 입장에서 원화가 불안정한 통화이기 때문이지요.브렉시트 이후 한
달
이 지났어요. 사건이 터진 당일보다는 세계적으로 환율이 조금씩 변하긴 했지만 아직 큰 변동은 없습니다. 앞으로 환율이 어떻게 변할지 한번 예측해보는 건 어떨까요 ... ...
[과학뉴스] 화성의
달
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화성의 위성인 ‘포보스’와 ‘데이모스’가 화성과 원시행성의 충돌로 생겨났다는 주장을 실은 논문 두 편이 최근 동시에 발표됐다.벨기에 왕립천문대 파스칼 로젠블라트 박사팀은 프랑스, 일본 연구진과 공동으로 포보스와 데이모스가 탄생하는 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해 학술지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더 잘하는 수학으로 출전했고,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나가 은메
달
을 목에 걸었다. 하지만 물리학자의 꿈을 포기할 수 없어 대학에서 물리학을 주 전공으로, 수학을 복수전공으로 택했다.“처음부터 두 학문 모두 전공할 생각이었어요. 하지만 수학보다는 물리학이 더 ... ...
[Editor’s Note] 섞임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외에도, 연 8회 이상 개최하는 과학자의 토크 강연 ‘과학동아 카페’ 등을 통해 거의 매
달
정기 및 일반 독자가 참여할 수 있는 행사를 열고 있다.독자의 눈을 보고 말을 섞고 체온을 나누며 변화해가겠다 ... ...
[Tech & Fun] 박흥보 특급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물고 갔다는 것을 찾아 냈다. 우리는 그 제비가 있는 곳으로
달
려 갔다. 제비는 박씨가
달
려 있는 박 줄기를 입에 물고 자기 둥지를 오락가락했다. 그리고 움직이는 중에 박씨가 바닥으로 떨어졌다. 선배는 허공에 손을 뻗어 날렵하게 그 박씨를 잡아 챘다.“박씨!”“박씨! 박씨!”“박씨!”우리는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촬영한 영상은 용량이 엄청나게 크다. 사진 한 장이 1GB(기가바이트)에 이른다. 한
달
동안 얻은 자료를 합치면 용량이 1TB(테라바이트)에 이른다. 그런데 만약 적조현상만 관찰한다면 모든 파장의 정보를 볼 필요가 없다. 적조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엽록소가 흡수하는 극히 일부분의 파장만 보면 된다.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