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유리수의 집합을 비율을 뜻하는 라틴어 ‘quotiens’의 첫 글자인 Q로 표시하기도 한다.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눠지는 정수인 ‘소수(素數; 근본이 되는 수)’도 마찬가지다. 영어의 ‘Prime Number’(주요 수)를 직역한 것이다. 모든 자연수를 소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소수는 자연수를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마치 샛노란 태양이 이글거리는 듯이 보이거든. 전문가들은 고흐가 이때 그림에
자기
영혼을 담는 방법을 완벽히 터득했다고 분석하고 있어. 이 중에서 괴도키드가 훔쳐가겠다고 경고한 건 초기 작품이야. 나는 이 작품이 걸려 있는 레이크록 미술관에 도착했어. 여느 미술관보다 훨씬 거대한 ... ...
너도 금사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이거 어디 말하기도 창피해서 원. 김 대리는 어느 날
자기
누나 일이라며 소녀에게 보험을 권유했대요. 어여쁘고 가녀린 알바생은 소년에게 교회에 같이 나가자고 했고요(ㅋㅋㅋ). 어쨌든 이번 일로 소년과 소녀 모두 서로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답니다 ... ...
수백 년 도
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리고 나중에 재보존처리할 때를 염두에 두고 복원을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도
자기
를 복원할 때도 무늬에 유사성이 있는 경우에만 짜맞추지, 절대 추정을 통해 복원하지 않습니다. 왜곡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복원에 사용하는 재료와 접착제 역시 언제든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씁니다. 그래야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겨울이 한번 지난 뒤에야 몸짱프로젝트를 중지하고 생식생장으로 체제를 전환한다(
자기
몸 불리기에 바쁘던 식물이 겨울의 찬바람을 맞고 고생을 하며 삶의 덧없음을 깨달은 것일지도 모른다). 식물학자들은 이런 식물의 겨울나기를 ‘춘화처리’라고 부르며 후성유전으로 설명한다. 한 예로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한 결과에 차이가 생긴 것도 이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실험실 조건의 DNA에서는 증폭자가
자기
가 원하는 곳에 언제든지 정확히 결합할 수 있었지만, 세포에서는 이 부분이 히스톤에 가려져 증폭자가 결합하기 어려워 전사를 진행할 수 없었다.이런 차이를 정확히 추측할 수 있게 된 것은 미국 ... ...
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받아들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만드는 음식들이라면 건강에 좋지 않은 레시피라도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기
가 좋아하는 요리사일 경우 이런 경향은 더 심하게 나타난다. 외식요리 전문가 백종원 씨가 음식에 설탕을 들이 붓고, 땅콩버터 범벅인 칼로리 폭탄 토스트를 만들어도 경각심 대신 한번쯤 따라해 보고 싶은 ... ...
피구왕 통키의 불꽃슛?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측정할 수 있다. 테미스 위성은 지구
자기
권 안쪽과 바깥쪽을 넘나들어 태양풍이 지구
자기
권에 닿았을 때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켈빈-헬름홀츠파는 마치 불꽃처럼 독특한 톱니 모양을 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관측시간의 20% 정도는 켈빈-헬름홀츠파가 관측됐다”며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키 같은 몸 생김새가 똑같다고 했다. 차이점도 있었다. 영과 타협하는 성격인데 언니는
자기
가 하고 싶은 일은 꼭 해야 하는 성격”이라고 말했다.그로부터 며칠 뒤 강남의 작은 모임 공간에서 두 번째 쌍둥이들을 만났다. 쌍둥이 언니인 윤서영 씨와 동생 지영 씨는 얼핏 봐도 쌍둥이라는 걸 알 수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처음 ‘집밥’을 먹었던 순간을 감동적으로 적어놨다. 그는 연암이 숯불 위에 손수 하얀
자기
를 올려 밥을 지었다고 기록했다(부인에게 부탁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 밥을 함께 먹고 대화를 나누며 지음(知音) 즉 자신을 알아주는 감동을 느꼈다고 적었다. 물론 밥맛보다는 정성에 탄복했을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