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풍뎅이 껍질에서 아이디어...초미세 레이저 기기 탄생동아사이언스 l2018.07.04
-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풍뎅이 껍질 물질을 확대했을 때 보이는 나노미터 크기의 나선형 구조에 주목했다. 빛은 왼쪽 또는 오른쪽 나선 모양으로 회전하는 ‘편광’이라는 특징이 있다. 빛이 풍뎅이 껍질 속 나선형 구조와 만나면, 좌우 편광 중 일치하는 쪽의 빛만 반사된다. 김 ... ...
- 스마트폰 지문인식, 화면 어디를 눌러도 상관없다!동아사이언스 l2018.07.04
- 은나노와이어를 네트워크로 엮어 만들었다.-UNIST 제공 연구팀은 지름 100㎚(나노미터, 10억분의 1m)인 은나노섬유와 은나노와이어를 무작위로 엮는 네트워크를 구성해 정전식 지문센서를 설계했다. 그 결과 센서해상도가 318CPI(인치 당 커패시터수)로 기존 투명소재인 인듐주석산화물(ITO)로 구성한 ... ...
- 수 미터 크기 유리기판 미세한 굴절 잡는다...표준연 두께 불량 검출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18.07.03
- 전문기업과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대형 LCD 공정의 효율을 높이려면 수 미터 크기의 유리 기판의 모든 부분이 같은 두께로 생산해야 한다. 두께가 달라 미세한 굴곡이 발생하면 불량 픽셀이 생겨 화면 왜곡으로 이어진다. 이는 LCD 기판을 쓴 TV의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생산 ... ...
- [짬짜면 과학 교실] 코끼리 가족에게 배우는 ‘물체의 운동’2018.06.30
- 0,000미터를 가는 것과 같아요. 그런데 막내 코끼리는 그 속력으로 1,700미터를 갔으니, 10,000미터의 17퍼센트만큼의 거리를 이동한 거예요. 따라서 그 시간 역시 60분의 17퍼센트만큼의 시간(분)이 걸렸겠죠. 즉 60분의 17퍼센트에 해당되는 시간은 10.2분(60×0.17=10.2)이에요. 결국 막내 코끼리는 약 10분 뒤에 ... ...
- 비단뱀에 죽을 뻔한 악어, 구출돼 ‘화제’팝뉴스 l2018.06.23
- 두 남자는 플로리다 에버글레이드 습지에서 악어와 비단뱀이 엉켜 있는 것을 발견했다. 2미터가 안 되는 크기의 악어가 죽기 직전이었다. 비단뱀은 악어를 질식시켜 배를 채울 계획이었다. 잭 휴버드와 마이크 킴멜이 이 위기의 악어를 구해냈다. 비단뱀을 맨손으로 집어 들어올리자 위기감을 느낀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즈텍 문명의 신비, '해골의 벽'의 정체는?동아사이언스 l2018.06.23
- 발견한 촘판틀리의 모습이다.-science 제공 연구팀은 2015년 2월부터 발굴을 시작, 길이 25미터, 너비 12~14m, 높이 4~5m의 촘판틀리를 발견했고 여기에 꿰어진 180여 개의 유골을 확보했다. 스페인 정복자들이 자신들의 침략을 정당화하기 위해 과장해서 기록했다는 의혹도 있는 촘판틀리에 대한 ... ...
- “힘 두 배” 진짜 근육 능가하는 인공 근육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06.18
- 연구팀은 니켈과 티타늄을 가공해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 수준인 약 25 µm(마이크로미터, 1 µm는 100만 분의 1m)의 다이아몬드형 격자를 만들었다. 이 격자는 온도가 변하면 크기가 줄어들거나 늘어났는데, 적은 에너지를 지니는 레이저 빛만으로 쉽게 조절 가능했다. -사진 제공 스몰 에너지는 ...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사람?팝뉴스 l2018.06.16
- 공사 차량 옆에서 일하는 남자를 촬영했다. 공사 차량은 실로 거대하다. 바퀴의 지름이 4미터를 넘을 것 같다. 해외 네티즌들의 눈길을 끄는 것은 바퀴에 감긴 체인. 진흙길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체인을 채우고 있는 것 같다. 체인의 규모도 실로 엄청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 상어를 물어가는 상어 ‘포착’팝뉴스 l2018.06.14
- 한다. 과학자들은 원래 잡힌 상어에 태그를 붙이고 다시 풀어줄 생각이었다. 그런데 5미터 내외 길이의 백상아리가 잡아먹고 말았다. 놀라움과 함께 희생된 상어에 대한 미안한 마음이 교차했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 DNA로 만든 ‘팝업북’? DNA 블록으로 항암제 나르는 나노 전달체 완성!동아사이언스 l2018.06.10
- 할 수 있다. 류 연구원팀은 이 기술(DNA 접기 기술)을 이용해 길이가 50~400nm(나노미터, 1nm은 10억 분의 1m)인 막대와 고리, 원통, 정팔면체 등 총 11가지 모양의 입체 나노구조체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또 실제로 약물을 담아 세포에 보낼 수 있는지 확인했다. 인간 신장 배아세포 등 3종의 세포 1만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