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12억년만에 지구에 온 ‘초신성의 마지막 빛’동아일보 l2016.03.24
- 별의 내부에서 합성됐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두 별의 자녀다.” ‘코스모스’의 저자 칼 세이건의 말이다. 우리 몸을 이루는 원자의 상당수는 태양과 같은 별 안에서 수소 원자의 융합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특히 금속 원소는 태양보다 훨씬 큰 별이 수명을 다해 엄청난 섬광을 발하는 초신성 폭발을 ... ...
- 구멍 송송 뚫린 검은 금(金), ‘블랙골드’ 개발2016.03.23
- 잘 통하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생체에도 적합해 활용도가 클 전망이다. 논문 제1저자인 곽은지 UNIST 신소재공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질산의 농도와 온도를 조정하면 구멍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제조법은 다른 금속에도 적용할 수 있어 각 금속의 성능을 ... ...
- 항암치료 부작용 ‘탈모’ 원인 찾았다2016.03.20
- 교수(교신저자·왼족)와 윤지선 연구교수(제1저자) - 서울대 의대 제공 흔히 항암 치료라고 부르는 항암화학요법은 암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위장 장애, 탈모 등 부작용이 있어 환자들을 힘들게 했다. 권오상 서울대 의대 피부과학교실 교수팀은 항암제 사용시 탈모가 일어나는 원인을 알아냈다고 2 ... ...
- [어린이 책]인공지능, 정체가 뭐야?동아일보 l2016.03.19
- 그렇다면 우리 인간의 사유 방식은 어떻게 바뀔까요? 혹은 어떻게 바꾸어야 할까요? 저자는 그것이 어렵다고 피하지 말라고 말합니다. 과학기술을 제대로 모르면 세상 돌아가는 것을 모르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 책은 현대 과학 기술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들을 아주 쉽게 설명합니다. 읽고 나면 ... ...
- 흐릿한 사진에 ‘인공지능’ 돌려보니2016.03.18
- 016 영상인식학회(CVPR)’에서 발표 논문으로 선정돼 공개를 앞두고 있다. 논문 교신저자인 이경무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고가의 카메라 장비로 촬영하지 않아도 고화질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이라며 “폐쇄회로(CC)TV나 초음파 장비 등에서 얻은 저화질 ... ...
- [책의 향기/150자 서평]핫시트: 스타트업 CEO가 알아야 할 모든 것 外동아일보 l2016.03.12
- 19세기 영국과 중국이 충돌해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기호학적으로 풀어냈다. 저자는 당시 영국 외교부의 보고서와 번역 행위, 문법서까지 꼼꼼히 분석했다. 국제정치 중심의 근대 제국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2만5000원. 공자를 부활시킨 중국의 속내는 마르크스와 공자의 화해(권기영 ... ...
- 지구에서 ‘가장 먼 은하’ 관측 성공2016.03.06
- 있다. 시간적으로 인류가 우주 역사 전체의 97%까지 관측한 셈이 된다. 논문의 제1 저자인 파스칼 외시 미국 예일대 박사후연구원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먼 거리에 있는 천체가 관측 가능할 정도로 밝게 빛나는 현상은 이론적으로 예측하지 못했던 사실”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로 초기 우주의 ... ...
-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②] ‘뼈가 들려준 이야기’의 저자, 법의인류학자 진주현과학동아 l2016.03.01
- 뼈 몇 개로 오래 전 죽은 이의 신원을 밝히고, 수십만, 수백만 년 전의 인류 진화를 밝히는 사람들이 있다. 공통적으로 고고학을 공부하다 땅에 묻힌 사람에게 눈을 돌린, 국내 대표적인 고(古)인류학자와 법의인류학자를 인터뷰했다. 공교롭게도 모두 여성이었고, 미국에서 세계를 대상으로 활약 중 ... ...
- 탄소 원자 경계면까지 확인, 새로운 주사투과전자현미경(STEM) 개발2016.02.29
- 확인했다. 고화질로 탄소 원자의 경계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콜린 오퍼스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은 “새로 개발한 전자빔을 이용해 기존에는 관측할 수 없었던 무거운 원소와 가벼운 원소가 섞여 있는 혼합물의 구조를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가능성이 ... ...
-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①] ‘인류의 기원’의 저자, 고(古)인류학자 이상희과학동아 l2016.02.29
- ‘아줌마’도 한다는 걸 보여줄 필요가 있지.’ 출판사가 하는 강연이었다. 과학책의 저자들이 강연자였는데 이 교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남자였다. “인류 진화를 묘사한 그림, 박물관의 전시물 등을 잘 보면 대다수가 남성으로 묘사해 놨어요. 만든 사람도 의식하지는 않았겠지만 인류의 절반이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