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량
개조
향상
개혁
쇄신
진보
옴
d라이브러리
"
개선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중환자와 가족에게 더할수 없는 기쁨 로봇 간호원의 시대 열리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같다. 아직은 대량생산을 못해 비쌀수밖에 없다"고 답한다. 그는 또 "현재의 로봇도
개선
할 점이 많다. 우선 크기와 무게를 줄여야하며 조종이 보다 쉽고 또 여러가지 복잡한 동작을 더 많이 할수 있는 로봇으로 개량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어쨌든 아직 사람 간호원정도로 머리와 손이 움직이지는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어떤 일을 해야 할지에 관해서는 제로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과학연구의 풍토
개선
도 중요 김용준 과학연구의 풍토에도 획기적인 전환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가까운 일본의 예를 들어보지요. 일본 구주대학이 1911년에 생겼읍니다.얼마전에 그곳에 갔다가 한 농과대학교수에게 교수진이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고 이어 러시아의 혁명과 내란의 시기가 이어졌다는 사정으로
개선
이 되지 못했다. 소비에트의 조사자들이 마침내 그 폭발지역에 다다른 것은 1920년대가 한창 되어서의 일이다. 그러나 진짜로 불가사의한 일이 시작된 것은 그때였다. 모든 사람들은 십만에서 수백만 톤까지로 ... ...
「과학의 수도」였던 베를린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도시자체가 사라지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최근 서독과 동독의 관계가
개선
되고 서독정부가 막대한 연구자금을 학자들과 연구소에 지급함으로써 활기를 되찾기 시작했다. 물론 30년대와는 달리 현재에는 미국이나 유럽국가에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이 많아 베를린이 과학의 메카가 ... ...
일본 마쓰시타와 합성고무회사 공동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잘 작동할수 있을지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이 배터리가 보다
개선
, 강력해 지고 본격 시판 될 경우, 각종 전자제품은 지금보다도 더 작아지게 될 것은 뻔한 일이다. 벌써부터 가전메이커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 ...
타이타닉호의 비극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크게 재촉하는 계기도 됐다. 이밖에도 배에서의 구명장비, 유빙감시, 여객선의 구조
개선
에 기여하는 전기를 이루기도 했다. 한편 이 대형하고는 부자들의 호화판 여행중에 일어났다는 점에서 어떤 의미의 벌(罰)이 아닌가하는 다소 미신적인 두려움을 당시와 후세사람에게 안겨주기도 했다. ... ...
혈액검사를 3분반 동안에 해내는 새로운 장치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지금까지는 아무리 빨라도 40분, 보통의 경우는 며칠씩 걸리던 혈액검사를 획기적으로
개선
한 것이다. 이 새로운 장치는 전자동으로 먼저 직경 40cm의 원반위에 있는 분석모듈에 채혈한 혈액 30ml를 주입한다. 원반은 고속으로 회전하여 원심분리한 혈장을 차례대로 시약과 혼합 반응시킨다. 결과는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제공하였다. 그 삼통력이후 중국역사를 장식하는 수많은 왕조의 흥망과 더불어 역법의
개선
도 이에 못지 않게 되풀이 되었던 것이다. 고대중국의 관측기기라면 주로 규표(圭表)또는 비(髀)라고 불리우는 것으로서, 수평판에 세워진 수직주(柱)같은 모양을 한것 뿐이었지만 제법 효과적인 도구였다.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돕게된다. 자유로운 학생회 활동 학생들 스스로의 면학분위기를 조성하고 복지문제를
개선
하려는 활동도 활발하다. 지난 9월 학생들은 총학생회를 열어 제9대 회장단을 선출했다. "이 회장단 선거를 통해 우리는 수준 높은 선거의식으로 민주역량이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냈으며 어려운 문제를 ... ...
책의 혁명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갈대의 속)위에 잉크를 사용하여 썼다. 비록 잉크들과 글자를 쓰는 표면들은 다같이
개선
되어 왔지만, 그러한 원리는 그 이래로 계속 사용되어 왔다. 이보다 앞선 시기에는 필경사들이 양피지나 나무 껍질위에 썼다.오늘날 종이는 이전의 어떤 파피루스보다 더 값싸고 풍부하게 구할 수 있다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