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사고
사변
사태
업무
일거리
비상상태
d라이브러리
"
사건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스트레스가 습관화되는 것은 과거 어떤
사건
에 대한 기억과 관련이 있다. 사실이나
사건
을 기억하는 중추는 해마다. 해마의 신경세포 말단에서는 무수히 많은 시냅스가 뻗어나와 다른 신경세포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신경세포들 사이에서 서로 정보소통이 이뤄질 때 기억이 형성된다.해마는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발상은 참으로 유치하기 짝이 없습니다. 도킨스 교수 같은 영향력 있는 학자가 역사적
사건
을 그렇게 단순한 인과관계로 본다는 사실에서 우려를 금할 수 없네요.몇몇 청중들의 박수소리가 이어졌다.박수받자고 한 말은 아닌데요. 어쨌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종합토론 시간에 도킨스 교수와 토론을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가장 잘 보여주는 책이다. ‘신주무원록’은 조선시대 법의학의 기본지침서로, 다양한
사건
사고를 예로 죽은 자의 사망원인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번역서지만 세심한 각주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을 재해석해 전달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예를 들어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지금으로부터 4억 4천만년 전, 당시 번성하고 있던 생물종의 2/3가 갑작스럽게 멸종한
사건
이 일어났다. 오르도비스기 대멸종으로 불리는 이 참사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 천문학자가 새로운 가설을 들고 나왔다. 감마선폭발이 그 원인이라는 것.미국 캔자스대 천문학자인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성인들의 작품을 제치고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당연히 프랑스 화단은 발칵 뒤집혔다. 이
사건
은 ‘추상화의 아름다움은 보기 나름 아닌가’라는 대중들의 의혹을 확인시켜주는 사례인 것처럼 보였다.그러나 반대로 객관적 아름다움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역설일 수도 있다. 회화의 아름다움은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분석하기 쉬운 당구공 모형으로 다뤘다. 과거 자신과의 만남은 당구공 두개의 충돌
사건
과 비슷하다. 소온과 노비코프는 미래의 당구공(시간여행을 한 미래의 사람)이 과거의 당구공(과거의 자신)과 충돌하는
사건
(만남)이 모순이 되는지 점검해 과학적으로 모순이 없는 경우가 있음을 발견해냈다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반면 일주일 전 점심에 뭘 먹었는지 기억조차 없다.소광희 교수는 “과거의 시간은
사건
과 함께 사라지지만 기억속에 흔적으로 남아있다”며 “강렬했던 경험은 우리의 회상을 통해 때로는 실제보다 길게 재현되기도 한다”고 말한다.그렇다면 기억이 사라질 때 그 사람에게는 더이상 시간이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그 시점이 ${10}^{-43}$초. 때문에 현재 우리는 0-${10}^{-43}$초 동안 발생한 우주 탄생의 최초
사건
에 대해 모른다.왜 이런 구간이 등장하는 것일까. 호킹과 펜로즈의 특이점은 고전이론인 중력이론에 바탕한 것이다. 문제는 고전이론이 우주와 같은 거시세계에 대해서는 잘 설명하지만 매우 작은 단위, 즉 ... ...
생체 인식 여권 나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오래전에 시작됐다. 9·11테러 이전부터 생체인식 출입국 관리 기술을 연구해왔던 미국은
사건
이 터지자 서둘러 상용화에 들어갔다. ‘국경보안 강화 및 비자 개혁법’이 발효되는 내년 10월부터는 자신의 생체정보가 수록된 여권과 비자를 소지한 사람만이 미국 땅을 밟을 수 있다.또 얼마전 영국이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전에 분수령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셨는데, 저도 생명의 진화에서 그런 분수령이 되는
사건
들이 최소한 여덟차례 발생했다고 주장해왔습니다. 자세한 것은 저와 헝가리 출신의 고등과학원 이론생물학자인 외르시 서트머리 교수가 쓴 ‘진화에서의 대전환’에 나와있는데요, 간단히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