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각 부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캐리커처의 비밀얼굴
인식
에서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우리가 사진이나 어떤 사람의 얼굴을 정밀하게 묘사한 그림을 볼 때보다 그 사람의 얼굴 특징을 과장해서 그린 캐리커처를 볼 때 더 빠르고 정확하게 누구인지 알아본다는 ... ...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침해 논쟁이 있지만 9.11 테러 이후 세계적으로 보안 강화 움직임이 거세지면서 얼굴
인식
기술의 효과는 부각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당신 얼굴의 진실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4. 나는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안색의 변화, 동공의 확장 같은 얼굴의 물리적인 반응을 관찰하기도 한다.그런데 표정을
인식
한다는 얘기가 단순히 얼굴에 나타나는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것만은 아니다. 물리적인 변화에 따른 상대방의 기분과 감정 상태까지 파악해야 표정을 읽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표정은 언어를 ... ...
우리는 의식하고 있다는 걸 의식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접근하려 한다. 프로이트 심리학에서 의식이란 무의식의 타자로 사회의 도덕과 규범을
인식
하는 이성적인 영역에 속한다. 우리가 깨어있는 동안 의식이란‘놈’은 일상 곳곳에서 감 놔라 배 놔라 개입하다 우리가 깊은 잠에 빠지면 무의식에게 자리를 내주고 사라진다. 아침이 되면 우리는 다시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바텐더 로봇나는 한 번 본 손님의 얼굴은 절대 안 잊어버려. 사람의 얼굴과 목소리를
인식
하는 장치를 갖고 있거든. 손님의 이름을 부르며 반갑게 인사도 하고 시원한 음료수를 로봇팔로 집어 대접하지. 어딜 가나 내 인기가 식지 않는 이유를 이제 알겠지? 귀여운 재롱은 기본, 애완 로봇진짜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위해서예요. 양 쪽의 귀에 소리가 들어오는 데 미묘한 차이가 생기고, 그 차이를 뇌가
인식
해 소리의 방향을 알 수 있게 해 준답니다.콧구멍콧구멍이 두 개인 이유는 냄새를 잘 맡기 위해서예요. 후각은 쉽게 피곤해 지기 때문에 왼쪽·오른쪽 콧구멍이 약 2시간마다 교대로 냄새기능을 유지합니다. ... ...
건강한 눈, 예쁜 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잘 맞지 않은 상태로 오래 있다 보니 교정을 통해 초점이 잘 맞게 해 주어도 눈이 잘
인식
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약시는 만 7~9세까지는 치료가 가능하므로 아직 시력 검사를 해 보지 않았다면 꼭 해 보도록 하세요.멀리 보자!가장 흔한 근시의 경우 가까운 물체를 오래 보기 때문에 생긴다는 ... ...
기획2. 커넥티드(Connected)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이들에게 전화를 걸어 대화를 나누고 먹이도 줄 수 있다.최신 인터랙티브 음성
인식
기술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선마이크로시스템사가 개발한 선스팟(SunSpot) 소프트웨어를 적용한 이 프로젝트는 소위 ‘유비쿼터스’라는 수사학에서 벗어나 실제로 인간이 환경과 관계 맺고 소통하는 모습을 ... ...
DAY1 '골리앗' 최홍만이 신체검사 불합격?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증세가 생길 수 있다. 체액이 몸 위쪽으로 이동하면 뇌는 몸의 전체 체액량이 증가했다고
인식
한다. 그래서 체액의 10% 정도를 몸 밖으로 내보낸다. 지구로 귀환한 우주비행사에게 링거액을 1L이상 공급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더 큰 문제는 심장의 부담이다. 처음에는 가슴 부위에 체액이 증가하므로 ... ...
수학 천재 이렇게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어떤 꼴인지는 알 수 없다.사실 드라마에 한태웅이 선택공리의 필요성에 대해 어렴풋이
인식
하는 장면을 넣고 싶었지만 이렇게 되면 멜로물이 아니라 수학 전문 드라마가 될 이쯤에서 자제를 했다.정수론 표절인가 아닌가줄거리_ 한태웅과 김정규는 각각 좋은 수학 논문을 한 편씩 쓴다. 그런데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