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도움이 됐나요?물론입니다! 제가 추는 춤이 실제 아이돌의 안무와 얼마나 비슷한지
확인
해보니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정확하게 알겠더라고요. 이후에도 저는 춤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Q 추가로 계획 중인 영상이 있나요?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기 위한 아이디어는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가진 특징을 모방하면 더 안정적인 소재를 찾을 수 있다”며 “최근 심해어에서
확인
한 멜라노솜의 특성을 응용해 새로운 울트라블랙 소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발사대는 이미 소화약품 범벅이 된 상태였다. 나로호가 발사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
하기 위해서는 다시 또 여러 단계의 점검을 거쳐야만 했다. 발사 연기가 불가피했다. “한국은 운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나로호에 액체산소가 충전된 상태에서 소화약품이 분출됐다면 나로호가 폭발할 수도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2015년부터 ‘꽃가루 예보’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웹사이트 ‘www.pollen.or.kr’에 접속하면
확인
할 수 있어요. Q 최근까지도 연구하고 계신가요?네. 최근엔 세계 17개국 과학자 및 의사들과 협업해 꽃가루로 본 기후변화에 대한 논문을 냈어요. 여러 나라 과학자들이 지난 26년 동안 모은 방대한 자료를 ... ...
[한 장의 과학] 세상에서 가장 세밀한 원자 3D 증명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수 있었어요. 또 같은 조건에서 만든 백금 나노입자도 원자의 구조가 다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답니다.박정원 연구위원은 “물질의 성질을 예측하고, 합성하는 것이 미래 소재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촬영 기술이 앞으로 촉매나 디스플레이, 신약 개발 등 신소재 개발에 큰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있어요. 지난 1월에는 이스라엘 제약회사 비온드백스가 범용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
하는 마지막 임상시험을 시작했어요. 올해 말 약 20년간 개발해온 범용백신을 사람이 쓸 수 있을지 결과가 나올 예정이지요.범용백신은 바이러스가 변이할 때 잘 변하지 않는 부분을 공략해요. 예를 들어,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도시, 서울에서 비둘기 똥 맞을 확률은 얼마일까요? 올로프슨 교수의 방법을 따라
확인
해보죠!먼저 위에서 내려다 본 사람의 머리와 어깨 넓이를 a, 이 사람이 움직인 범위의 넓이를 A라고 해요. 그러면 A 구간을 날고 있는 비둘기 1마리가 똥으로 사람을 맞힐 확률은 a/A로 구할 수 있어요. 그런데 만약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변화를 추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17년부터 현재까지 15개의 초신성을 공식적으로
확인
했습니다. 연구팀은 새로 발견한 초신성에 대한 기록에 해당 초신성을 발견한 시민 천문학자의 닉네임을 표기했습니다. 앞으로 연구팀은 사람들이 분류한 사진을 이용해 관측 사진 속에서 초신성 후보를 ...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단서는 무늬가 보이는 나머지 카드 4장의 ‘종류’와 ‘순서’입니다. 처음 5장의 카드를
확인
한 마술사는 다른 마술사가 맞힐 ‘히든 카드’를 뒤집어 가장 왼쪽에 놓고 두 번째에는 히든 카드와 무늬가 같은 ‘키 카드’를, 히든 카드에 적힌 숫자를 알려줄 나머지 3장을 오른쪽에 놓아야 하죠.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그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심리유형검사)’ 맞습니다. MBTI는 개인의 선호를
확인
하기 위한 일종의 검사 도구입니다. 그런데 MBTI 결과가 내향성(I)이냐 외향성(E)이냐에 따라 ‘아싸’와 ‘인싸’를 구분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되는지 전문가에게 물어봤습니다. 더불어 과학동아 편집부의 MBTI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