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주축으로 한 학자들은 밀랍 대신 대나무를 끼워 넣어 활자를 고정하는 신기술을 활용해 1420년 하루에 수십~수백 장 인쇄 가능한 ‘경자자(庚子字)’를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장영실에게 두 번째 기회가 찾아왔다. 1421년 어느 날 세종이 장영실과 윤사웅, 최천구 등에게 중국에 가서 물시계와 혼천의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연구를 위해, 녹아웃 쥐와 녹다운 쥐 등 형질전환 쥐 총 30여 종을 제작했다”며 “이들을 활용해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 시냅스 생성의 비밀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순수수학뿐 아니라 반도체 회로 설계와 물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그래프 이론을 활용하고 있다.키렐 벤치 로잔공대 전자공학과 연구원은 온라인 웹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원하는 정보만 추출하는 알고리듬을 만들어 우키피디아에 기록된 스타워즈의 모든 등장인물 및 그들을 분류할 수 있는 ... ...
- [통합과학교과서] 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94%까지 올랐답니다. 요즘 TV 광고에 자주 나오는 ‘콘덴싱보일러’가 바로 수증기를 재활용하는 보일러지요. 경복궁에서 발견된 도넛 모양 온돌? 경복궁의 안쪽엔 왕이 휴식을 취하던 연못 ‘향원지’가 있어요. 그리고 향원지의 중심엔 아담한 정자 ‘향원정’이 있지요.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아닌 모양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오가노이드를 화학물질 스크리닝 같은 예비실험에만 활용한다고 합니다. 신약 개발 초기에는 후보물질만 수십 종이거든요. 우리 대신 오가노이드로 이런 후보물질의 효과를 테스트하는 거죠. 2019년 12월 3일에는 큰 행사가 열렸어요. 저보다 먼저 떠난 우리 가족을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있습니다. ‘Never predictable(전혀 예상할 수 없는)!’ 저는 자신의 연구가 어디서 어떻게 활용될지 모른다는 점이 과학 연구의 가장 신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초과학일수록 아주 좁고 한정적인 분야에서 나온 연구 결과가 나중에 다양하고 많은 분야에서 쓰일 수도 있기 때문이죠.과학자로서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유전자는 고온과 가뭄, 고염분에도 강하며, 모든 식물에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국내에서도 황금쌀이 개발된 바 있다. 하선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관(현 경희대 유전공학과 교수) 팀은 고추 속 PSY 유전자로 황금쌀을 만들어 국제학술지 ... ...
- 강아지 나이 계산법이 틀렸다고? 수학으로 바로잡는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조금 다를 수 있어. 그러니 네가 다른 종 강아지를 알고 있다면 참고용으로만 활용하도록 해. 그래도 다짜고짜 7을 곱하는 것보다는 훨씬 유용할 거야. 앞으로는 내가 어리게 보인다고 함부로 대하지 말아줘. 나는 어쩌면 너보다 훨씬 어른이란 말이야. 멍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수학에 구멍이 났다면?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지루하지 않게 자신에게 동기부여를 하며 차근차근 공부할 수 있는 좋은 도구이니, 적극 활용하길 바랍니다.물론 여기 제시한 방법이 모든 학생들에게 맞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예를 참고해서 본인의 성향에 맞는 방법을 생각해보고 추가하거나 빼도 됩니다. 다만 공부 방법을 선택할 때 절대 ... ...
- [열혈가족인터뷰] 그린 가디언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등의 쓸모가 있단 것도 알게 됐어요. 그래서 무의미하게 뽑아서 없애기보다 자원 식물로 활용하면 좋겠어요.연주 저는 생태계 교란 식물이라고 해서 무조건 제거하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생태계 교란 식물도 몇몇 곤충에게 기주식물*로 쓰이는 등 생태에 함께 어우러져 살아야 할 생물이니까요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