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뉴스
"
물체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도가도 못하는 도로, 수학이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폭발 파동’을 나타내는 식과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폭발 파동이란 어떤
물체
가 폭발할 때 생기는 파동현상이다. 폭발할 때 입자가 연쇄적으로 퍼지는 현상이 차량의 움직임이 연쇄적으로 다른 차량에 영향을 주는 교통체증과 비슷했다. 교통체증과 전혀 다른 물리학의 파동 방정식이 ... ...
청각장애우 이제 소리를 눈으로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소리를 감지하면 LED에 불이 들어와 소리가 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고, 소리를 내는
물체
가 특수 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진 렌즈에 나타나면 빨간 불로 표시해 주는 원리다. 또 이 청각소자는 기존보다 주파수 대역이 넓고 감도가 뛰어나 아주 작은 소리까지 감지할 수 있다. 허 박사는 “이 청각소자는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왜 흔적이 남지 않았을까. 명쾌한 답은 아니지만 설명할 수는 있는데, 충돌하는
물체
가 어떤 물질로 이뤄졌느냐에 따라 운석을 남기느냐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번 러시아 유성체의 경우 주로 철로 이뤄진 단단한 물질이기 때문에 폭발에도 완전히 타버리지 않고 약 5% 정도가 수많은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radiation) 역시 질량에 상응하는가를 알아보기로 했다. 흑체란 복사선을 완전 흡수하는
물체
인데, 흑체도 온도에 따라 복사를 내고 그 파장분포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1900년 독일의 막스 플랑크가 양자론을 생각해냈다. 아인슈타인이 그랬던 것처럼 하젠욀도 사고실험을 통해 흑체복사와 질량의 관계를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