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감퇴
감량
저하
하락
수축
점감
스페셜
"
감소
"(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틸다의 유리천장
2019.08.29
소형과제의 경우 여성 연구책임자의 비율은 서서히 증가하고 있지만, 대형과제는 오히려
감소
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들이라면 잘 알고 있을 과제 수주 시의 과도한 네트워킹, 특히 근무시간 외의 사적인 자리에서까지 이를 요구하는 풍토와 이런 결과가 무관하다고 보기는 힘들다. 마틸다 ... ...
국내 연구진 ‘살인진드기병’ 예방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일반적으로 6~14일간 잠복기 후 38~40도의 고열이 3~10일 이어지고 혈소판
감소
및 백혈구
감소
와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발생한다. 중증으로 진행돼 사망에 이르는 사례도 있었다. 국내에서는 2013년 처음으로 살인진드기병 환자가 발생했다. 매년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진드기 접촉 최소화를 ... ...
20~30대 금연 후 살쪄도 심혈관질환 위험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증가하더라도 흡연자와 비교했을 때 모든 그룹에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20% 이상
감소
했다. 또한 금연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체중이 증가하더라도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확률은 커지지 않았다. 연구를 이끈 김규웅 연구원은 "지금까지 금연 후 체중이 증가하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 ...
[기자의 눈]전문연구요원제도 존치? 오죽하면 경제논리도 안먹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반면 국방부의 주장은 꾸준하고 명확한 근거가 있다. 병역 가용자원이
감소
하고 있다는 것은 인구 통계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또 일부 사람들만이 선택권 하나를 더 가진다는 면에서 형평성이 깨지는 것도 명확하다. 형평성 문제를 제시한 이들의 눈에는 한국 과학기술계가 그들의 삶과 사회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희망 잃은 삶 구할 한줄기 빛 같은 과학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를 2011년 등록 취소했더니 농약 자살률이 2011년 10만 명당 5.26명에서 2013년 2.67명으로
감소
했다고 소개했다. 연구자들은 새로운 자살 예방 전략도 찾고 있다. 하나는 뇌를 분석하는 것이다. 리앤 윌리엄스 스탠포드대 정신과 교수 연구팀은 ‘불안과 우울, 쾌감상실 치료 연구(RAD-AT)’라는 이름의 ... ...
"축소 논란 이공계 전문연구요원 선발기준에 연구역량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전문연구요원 제도 축소의 이유로 형평성과 병역자원
감소
를 들고 있다. 자연계 석사 이상에게만 현역 복무 대신 대학, 방위산업연구기관, 산업체 등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특혜라는 것이다. 또 2020년대에 들어 병역자원이 3분의 1로 줄어드는 상황에서 ... ...
정보통신업 취업자 수 19개월 연속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증가세가 나타났다. 전체 산업에서 49세 미만 취업자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9만 명
감소
한 반면 정보통신업에서는 4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정보통신업 49세 미만 취업자는 73만 5000명이었다. 정보통신업의 상용종사자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6.8%, 4만 7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
고기 덜 먹으면 온난화 속도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따라 붉은 고기 섭취를 줄이고 채소와 과일 섭취량을 늘리면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29%
감소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은 바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세계 축산업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7.1Gt(기가톤)으로 전체의 14.5%에 해당한다. 쇠고기를 포함한 소는 이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전쟁의 위험은 여전하지만 그래도 최근 수십 년간 전쟁 희생자는 약 4분의 1로
감소
했다. 과연 인간에게 가장 위험한 동물은 무엇일까? 늑대나 상어? 그러나 매년 늑대에 물려 죽는 사람은 열 명 남짓이다. 상어도 마찬가지다. 코코넛 나무에서 떨어지는 코코넛에 의해 죽는 사람이 매년 150명이라고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하지만 옥시텍은 모기 유충의 습성상 유충 단계까지 거친 뒤 죽게 하는 것이 개체수
감소
에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모기 유충들은 좁은 지역에 군집을 이루고 산다. 그래서 한정된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해 유충들끼리 경쟁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만약 GM 모기가 낳은 알이 일찍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