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감퇴
감량
저하
하락
수축
점감
d라이브러리
"
감소
"(으)로 총 2,26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컴퓨터 모의 실험- 세기적 '우주쇼' 대예측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H}_{3}^{+}$ 이온은 충돌 장소에서 혜성으로부터 나온 물분자들에 흡수돼 오히려
감소
현상을 보인다는 계산결과가 나왔다. 그러므로 이 충돌장소에서는 ${H}_{3}^{+}$ 방출 구멍이 형성될 것이다. 이 방출구멍들은 적외선 이미지관측으로 관측될 예정이다.이러한 현상들은 관측하려고 현재 세계 여러 ... ...
(2) 면역 호르몬 사이토킨, 암퇴치의 첨병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약 1백년전 독일의 브른스와 연구진은 암환자가 세균에 감염된 후에 암의 크기가
감소
하는 것을 관찰했다. 그뒤 미국의 콜리도 그람 음성균의 세포추출물이 어떤 암에서는 억제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얼마동안 이 추출물은 '콜리독소'라고 알려졌다.이들 세균독소들이 면역계를 활성화함으로써 ... ...
화학 - 봉지로 열기구 띄운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데워주면 공기가 팽창해 일부는 빠져 나가지요. 결국 기낭 안에 있는 공기의 밀도가
감소
해 기구가 위로 뜨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버너를 끄면 공기가 식고 수축하면서 기낭안으로 들어와 전체 무게가 증가해 기구가 내려오게 되지요.기구는 위로 뜰 때와 아래로 내려올 때 심해(深海) 잠수정과는 ... ...
밤하늘이 어두운 까닭은 은하의 나이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반면, 별이나 은하가 내는 빛의 양은 일정하다. 그러므로 우주의 전체로는 빛의 밀도가
감소
하는 것이다.그런데 정말로 별이나 은하의 후퇴 하나 때문에 무한대의 밝기가 될 밤하늘이 현실처럼 어두운 것일까? 현대의 천문학자들은 지금까지 관측된 자료와 알려진 이론을 바탕으로, 우주가 정지하고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소비되는 재화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추가분에서 얻을 수 있는 효용은 점차
감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과자 대신 빵을 사먹거나 비료를 그만 쓰기 때문에 어떤 한 회사 또는 제품이 시장을 지배할 만큼 커질 수 없다. 효용체감은 작은 효과가 사라지기 쉽다는 뜻이 되므로 작은 요동이 증폭되지 ... ...
지구과학 - '뉴턴사과' 지구중심낙하 정설 아니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것인가?만유인력의 법칙에 의하면 두 물체 사이의 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
감소
한다. 그러면 계속 지구 중심쪽으로 떨어지는 뉴턴의 사과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점점 커질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뉴턴의 사과는 지구의 내부에 있다는 것을 간파해야 한다.만유인력의 법칙에서 두 물체 ... ...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만들어진 것이라는 사실이었다.그는 지구 대기권에서 보여지는 분명한 엔트로피
감소
현상―다른 말로 표현하면 대기권 기체들의 영속적인 비평형 상태를 의미한다―을 생물의 활동을 입증하는 명백한 증거라고 생각했다.그는 한 예로서 지구의 공기 속에 메탄가스가 산소와 함께 존재하는 현상을 ...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출신의 물리학자 러더포드는 방사성원소에서 나오는 방사선의 세기는 시간에 따라
감소
하고 원소양이 많을 때는 원소의 붕괴가 빨리 일어나며 원소양이 줄어들 때는 붕괴율도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다음과 같은 비유를 들어 자신의 발견을 설명했다. "원통형 수조의 밑바닥에 구멍을 ... ...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19℃였을 것이다. 이산화탄소로 둘러싸여 따뜻한 기온을 유지했던 지구는 이산화탄소가
감소
하면서 찬 지구로 변해야만 하는데 온화한 기후가 유지 되었던 것은 알베도 효과로 설명한다.알베도란 지구에 입사되는 에너지량과 지구로부터 반사되는 에너지량의 비(比)다. 이는 지구의 색깔과 관계가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없다는 것이다.현재까지 나온 가장 비관적인 예상에 따르더라도 대기권에서 오존층이
감소
되는 속도는 매우 느리므로, 과학자들이 오존층에 대해 더 많은 연구를 진행시켜 입법 담당자들이 올바른 근거하에서 이성적으로 이 문제에 대한 정책대안을 추진하도록 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이 그의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