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따라 와주는 그들에 대한 고마움과 더불어 결국 치료해줄 수 없다는 죄책감을 안고
살
아간다. 극 중에서 주인공 이강훈(신하균 분)의 어머니 역시 수술 후 항암 방사선 치료 등의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 이후 김상철(정진영 분)의 연구 역시 연구비 문제, 신약 투약의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80억 년 전 부근이 피크다. 즉 우주의 진화에서 별이 활발하게 만들어지던 시기(50억
살
전후)에 감마선 폭발도 가장 많이 일어난 것. 임 교수는 “감마선폭발이 일어나려면 별의 질량이 커야 한다”며 “별은 질량이 클수록 수명이 짧기 때문에 별이 많이 만들어진 시기에 감마선폭발이 많이 관측된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않아요. 그러니 우수한 박사들이 오지 않죠.”최근 서울대 공대에 수시로 합격한 16
살
영재학생이 결국 연대 치대를 택했다는 뉴스에 충격을 받았다는 유 교수는 결국 노벨과학상 수상자 같은 초대형 스타 과학자가 나와야 뛰어난 학생들이 과학에 몰릴 것으로 내다봤다.“우리나라에 세계 최고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 없다. 하지만 청각이나 후각은 근육의 움직임이 필요하지 않아 마지막까지 기능이
살
아 있다. 이렇게 일부 감각만 가진 환자들이 남은 감각을 이용해 외부와 의사소통을 하는 데 fMRI를 이용할 수 있다.하지만 fMRI는 움직일 수가 없고 한 번 찍을 때 가격이 비싸다. 뇌공학자들은 fMRI를 대체하기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쉬운 구조다. 우리나라도 2011년초 구제역으로 400만 마리 이상의 가축을 속수무책으로
살
처분한 경험이 있다. 문제는 가축 전염병에서 인수공통전염병(사람과 동물이 같이 걸리는 전염병)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우려는 2003년 태국 방콕에서 조류에서 사람에게 전염된 H5N1형 조류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상상해 보자. 그들은 딱히 지구를 그리워하지도 않은 채 화성을 영원한 고향으로 여기며
살
것이다. 지구밖에 몰랐던 우리와 몸과 사고방식이 다른 신인류가 될 것이다. 우리가 터를 닦았지만, 그들이 만들어 갈 화성의 미래. 그 미래가 무척 기대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가시박 열매를 따 모으기 시작한다. [가시박 열매 송이(오른쪽)에는 미세한 가시가 많아
살
에 박히기 쉽다. 열매(가운데)의 과피를 벗겨내면 수박씨처럼 생긴 씨앗(왼쪽)이 모습을 드러낸다.]잡초 찾아 전국 누벼1985년 고려대에 부임한 뒤 지금까지 강 교수는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며 야생 풀, 즉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배를 가르고 나서야 곰팡이의 업적이었음을 알았어요.”그럼 우리 된장 맛을
살
리고~
살
리는 주요 곰팡이들을 소개해 주시겠어요?“네, 첫 번째는 좁쌀곰팡이(Eurotium repens)입니다. 현미경으로 보면 좁쌀이 모여 있는 것처럼 생겨서 이런 이 름을 붙였죠. 이 곰팡이는 메주의 곳곳에서 많이 나옵니 다.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들고 있던 2010년 11월 전남대 한국공룡연구센터(소장 허민)는 백악기 후기 한반도에
살
았던 토종 공룡을 7년간의 발굴과 연구, 복원작업 끝에 공개했다. 조각류 공룡인 힙실로포돈류의 일종으로 보이는 작은 초식공룡으로 허민 교수팀은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라는 학명으로 국제 ... ...
사람이
살
수 있는 ‘제2의 지구’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지구의 365일과 비슷한 290일이에요. 지구 지름의 2.4배에 달하지만, 온도는 생명체가
살
기 적당한 섭씨 22도 정도랍니다.그 동안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존재할 것이라는 예측은 했지만 실제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현재의 기술로는 600광년 떨어진 이 행성에 갈 수는 없어요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