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니코틴보다 무서운 첨가제가 200개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왜 이렇게 첨가제를 많이 쓰는 걸까. 도대체 첨가제의 무엇이 문제였을까.담배회사는
오래
전부터 니코틴의 중독성을 잘 알고 있었다. 1967년 미국의 담배회사인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BAT)는 사내 과학자 총회에서 “흡연은 니코틴에 중독돼 나타나는 습관”이라고 발표했다. 또 1980년 이 회사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좋지만 물리학을 열심히 공부하면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선수생활을
오래
하다 보면 알게 모르게 마음으로 공을 보고 ‘어디쯤 맞으면 이번 샷으로 몇 번 공을 넣을 수 있겠다’를 감지하게 된다고. 하지만 그녀는 “당구는 매우 예민한 경기여서 힘 조절에서 조금만 실수하거나, ... ...
PART 3 맞춤형 자전거를 찾는 6계명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맞는 기어를 찾아라 이제 설명하는 계명은 앞선 계명으로 선택한 자전거를 과연 얼마나
오래
탈 수 있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 첫 번째는 기어에 관한 것이다.요즘 나오는 자전거는 대부분 기어를 여러 개 가지고 있다. 톱니 수가 다른 기어를 여러 개 붙여 놓은 것이다. 속도를 높이고 싶을 때나 ... ...
PART 1 미래 자전거의 4대 덕목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탄다. 다리를 앞으로 내밀고 등과 엉덩이는 의자에 편하게 기댄다. 몸이편하기 때문에
오래
탈 수 있다.다만 누워서 타는 만큼 자전거의 길이가 길고 무겁다. 갑작스런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기도 힘들어 복잡한 도로에서 타기엔 알맞지 않다. 1893년 유럽에 처음 등장했지만 더 크게 유행하지 못한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할머니 가설’이라고 부르는데, 여성이 다른 동물의 암컷과 달리 폐경기 이후에도
오래
사는 이유를 설명해 준답니다. 그런데 이상희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교수와 라파엘 카스파리 미시건대 교수가 2004년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네안데르탈인은 수명이 짧아서 30세 이상의 인구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익숙해진다면 곤충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간식이 된다.] [메뚜기 같은 곤충은
오래
전부터 식품으로 쓰였다. 최근 소나 돼지 같은 가축보다 친환경적인 단백질 공급원이라는 연구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곤충으로 만든 음식은 아직 호기심에 한 번 먹어 보는 데 그치는 별미에 가깝지만,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받았을 뿐 3세대에 속한다. 먼저 이 ‘세대’가 어떻게 나뉘는지 알아보자.휴대전화를 꽤
오래
쓴 사람도 대부분 2G, 즉 2세대부터 기억한다. 그다지 기억에 남아 있지 않은 1세대 이동통신은 아날로그 방식의 음성통화다. 아날로그 방식은 소리의 파형을 그대로 전자파로 변형해 정보를 전달한다. 197 ... ...
127시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실 아론이 부질없는 시도를 하는 장면에서는 안타까운 마음도 든다. 힘을 아끼면 더
오래
버틸 수 있을 텐데 말이다. 하지만 아론은 무엇이 됐든 새로운 행동을 시도해 보는 것 자체가 중요했다고 책에 적었다. 탈출에 도움이 안 되는 활동일지라도 시도해 봄으로써 살아있다는 감각을 느끼고,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느려서 이리저리 구불거린다.] [떠오르는 섬 캐나다 북부에 있는 아키미스키 섬은
오래
전부터 수 km 두께의 빙하에 덮여 있었다. 그런데 최근 온난화로 빙하가 녹자 섬을 짓누르던 무게가 사라지면서 섬의 고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섬 주위에 예전에는 없던 해변이 새로 생겼고, 캐나다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 봤습니다.사실 ‘인공근육’이라는 개념은 꽤
오래
전부터 있었습니다. 과학자들은 로봇이 아니라 사람의 몸에 이식할 목적으로 이런 인공근육을 꾸준히 연구해 왔습니다. 이런 ‘생체용인공근육’ 기술을 응용한다면 로봇에 쓰지 못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미 200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